[뉴스핌=강필성 기자] 지난 2009년 비트코인 탄생과 함께 시작된 가상화폐 시장이 돈 놓고 돈 먹기식 투기를 조장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가격이 수십배로 뛰어오르고, 1000여종의 가상화폐가 난립하고, 거래금액이 코스닥시장을 뛰어넘을 정도로 커졌기 때문이다. 반면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법 행위를 차단할 제도나 법은 정비되지 않았다.
하지만 가상화폐 시장의 확대가 가져온 분명한 성과도 있다. 바로 보안 분야다. 가상화폐의 완벽에 가까운 보안은 디지털 시대에 획기적인 전환점이었다. 이전까지 없었던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을 제도권에서 흡수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회사와 IT 기업이 앞다퉈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화폐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산업적 활용을 앞두고 있다.
블록체인 플랫폼 코다 개념도. <사진=R3> |
현재 금융권에서 가장 주목받는 곳은 바로 R3컨소시엄이다. KB 신한 우리 하나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은 물론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 HSBC, 중국의 평안그룹 등 80여개 글로벌 IT, 금융사가 참여한 세계 최대 블록체인 개발사다. R3는 총 1억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
IBM을 필두로 한 하이퍼 렛저 컨소시엄은 R3컨소시엄의 경쟁자다. 인텔, 액센추어,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JP모건 등 약 16여개의 글로벌 IT기업 및 금융사가 프리미엄 멤버로, 100개 이상의 기업이 일반 멤버로 각각 참여했다.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증권거래소, 코스콤, 삼성SDS 등도 가입했다.
R3가 개발 중인 ‘코다’와 IBM의 ‘하이퍼렛저 패브릭’은 모두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다. 이는 지금까지 가상화폐 거래소를 위주로 시세를 형성했던 것과 성격이 다르다. 안정적인 투자처와 활용처가 있으니 굳이 거래소에 유통시킬 이유가 없다.
하이퍼렛저 프로젝트. <사진=하이퍼렛저> |
이 두 가상화폐는 화폐의 기능을 빼고 ‘이더리움’의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능을 넣었다. 이 기능은 국제은행간 결제시스템인 스위프트(SWIFT)의 대체 효과를 노리는 중이다.
이는 금융권에 유통되길 희망하는 가상화폐 ‘리플’과 경쟁 관계이기도 하다. 결국 금융사와 IT기업이 만드는 가상화폐가 시중 유통되는 가상화폐와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상황이 됐다. 나아가 IT기술처럼 은행간의 연합, 기술표준을 두고 경쟁을 벌이는 양상이 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국내 가상화폐 개발도 활발하다.
우리은행은 올해 말을 목표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화폐를 개발중이다. 가상화폐 업체 데일리인텔리전스와 손잡고 위비꿀머니 시스템에 단계별 기술을 적응하겠다는 것. 이는 현금과 대응되는 일종의 포인트처럼 사용될 계획이다. 또 향후 주요 대학, 지자체, 글로벌 네트워크 등으로 용도를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KEB하나은행 역시 포인트 제도인 ‘하나머니’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시점은 미정이지만 유통, 금융을 아우르는 다양한 제휴사를 확보할 것으로 알려졌다.
가상화폐 이미지 <출처=바이두> |
금융투자협회를 필두로 25개 증권사가 참여한 ‘금융투자업권 블록체인 상용화 컨소시엄’도 다음달 중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이 블록체인 기술은 25개 증권사의 개인인증 업무를 블록에 기록하면서 고객 정보가 동일하게 공유되는 구조다. 더 이상 공인인증서 등의 보안이 필요 없어진다는 이야기다.
금융권에서는 가상화폐 연구개발이 앞으로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본다. 비트코인이 기대했던 무정부 화폐가 실물 화폐를 대체하는 개념 보다는 블록체인이라는 보안기술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했기 때문이다. 작게는 적립 포인트, 본인인증부터 송금 나아가서는 현금의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데 주목한다.
한 가상화폐 관련 사업가는 “결국 중앙정부가 없어 통제가 불가능한 기존 가상화폐의 한계를 금융·IT산업에서 만들어지는 블록체인 기술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때문에 지금까지 개발된 비트코인 등의 가상화폐가 대체되리라는 전망도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강필성 기자 (fee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