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봄이 기자] '살충제 계란' 파동 이후 한 달, 업계에서는 이제부터가 시작이라는 말이 나온다. 실추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14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살충제 계란 문제의 해법으로 천연 살충제 개발, 계란유통센터(GP) 확대, 동물복지형 사육환경 개선, 일원화된 관리시스템 등 다방면 대책이 나오고 있다.
농가에서는 무엇보다 살충제 사용의 원인이 된 닭 진드기 해결책을 촉구하고 있다. 이번에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들은 합법적인 살충제를 쓰면 내성 때문에 효과가 없다는 반응이었다. 하지만 현재 동물약품 시장에선 닭 진드기에 대한 수요가 적다보니, 제품 연구나 개발 등이 미미한 상황이다.
지난달 16일 서울 용산구 이마트 계란판매대에 판매 중지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참고사진) /이형석 기자 leehs@ |
민간 기업에선 수익성 문제로 천연 살충제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국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정부가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국책연구기관인 농촌진흥청은 닭 진드기 제어 기술 연구 의지를 밝혔다.
라승용 농촌진흥청장은 최근 간담회에서 "AI와 구제역 저항성 증진을 위한 축산 기술을 개발해 보급하는 게 농진청의 역할"이라며 "자외선과 천연 물질을 이용한 계사 내 닭 진드기 제어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천적, 병원성곰팡이, 미생물 등 다양한 방제 방법을 이용한 현장 실증을 계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개발도 중요하지만 농가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비용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천연 살충제를 판매하더라도 기존 살충제와 비용 차이가 많으면 농가에서 사용을 꺼려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농가가 안전한 천연 살충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민 농축식품유통경제연구소 실장은 지 난 11일 '유통구조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계란 검사 의무화를 강조하며, "농가의 양심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시스템에 의해 관리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닭 진드기를 구제하기 위해 비싸더라도 환경친화적인 살충제를 사용하게 될 것이고 시장 규모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 "GP센터로 일괄 검사할 수 있도록"…법 개정 필요
유통구조 차원에서는 계란유통센터(GP·Grade & Packing) 확대가 현실적 방안으로 꼽힌다. 농민 출신인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나라가 계란 생산 이후 유통 전까지 과정에서 검사하는 시스템이 매우 취약하다"며 "독일의 경우 GP센터가 완전히 의무화돼 있다. 여기서 일괄적으로 세척도 하고 검사도 할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양계업계도 10여 년 전부터 GP센터 필요성을 강조해온 만큼 이번 기회에 도입하자고 주장한다. GP센터는 지역별로 계란을 수집해 선별·포장하는 시설로, 계란 집하장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는 50여곳 운영되고 있으며, 전체 유통량 가운데 3분의 1 정도만 책임진다. GP센터가 추가 구축되면 유통 과정에서 투명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GP센터 의무화를 위해서는 현재 축산물위생관리법 개정이 필요한 상태다.
최근 박인숙 바른정당 의원은 이와 관련한 축산물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 개정안은 식용란을 검란 ·선별 ·포장 등 하는 식용란선별포장업을 신설하고 업장은 HACCP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했다.
박 의원은 "계란의 유통에서부터 끝까지 추적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가 현재는 없었기 때문에 그걸 강화해야 할 시점"이라며 "식용란은 가정용 또는 가공원료용 등 두 가지 원료로 쓰여서 용도별 유통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일원화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파동 과정에서 농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책임 떠밀기는 여론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관리 체계가 일원화되지 않다 보니 책임 소지의 문제가 생긴 셈이다.
하상도 중앙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식품안전관리는 식약처가 맡고 있지만 이번 사태에서 농식품부와 식약처가 경쟁적으로 상황대응에 나서면서 오히려 국민 혼란만 가중됐다”며 “안전관리 기능 등 행정적인 관리 체계를 확실히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장봄이 기자 (bom22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