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심지혜 기자]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인 SK가스가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으로 유탄을 맞게 됐다. 이미 4000억원 가량을 투입, 사업 허가를 코앞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 연료를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하라는 요구를 받은 것이다.
정부는 26일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발표를 통해 공정률이 10% 미만인 석탄화력발전소 9기 가운데 4기를 미세먼지 배출이 낮은 LNG로 전환하는 방안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전환 대상에는 SK가스의 당진에코파워 1·2기가 포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들이 아직 인허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전환 대상자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연료 전환이 강제가 아닌 민간 자율추진을 원칙으로 협의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밝혔지만 사실상 기존 석탄발전소를 포기하라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석탄발전소 백지화를 당선 공약으로까지 내건 만큼 이번 정책에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다.
석탄화력발전소 전경. <사진=뉴시스> |
이 같은 방침에 당사자인 SK가스는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 4월 초 산업부로부터 사업을 승인하는 '전원개발 실시계획 승인'을 받았음에도 정권 교체로 인해 이를 최종 확정하는 고시가 미뤄진데다 사업 전면 수정이 필요한 연료 전환 요구까지 받은 것이다.
SK가스에게 연료 전환은 쉽지 않은 문제다. 수년 전부터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에 맞춰 부지를 마련하고 설계를 진행해 왔는데 이를 갑자기 바꾸는 데에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수익성 확보 가능성도 미지수다. 석탄화력은 생산한 전기를 장거리로 전송해도 손실률이 낮아 원료 수입이 좋은 바닷가 주변에 위치한 반면 LNG는 손실률이 높아 소비지역과 근접한 곳에 있어 이를 바꿀 경우 수지타산이 맞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전력체계 상 발전 연료가 저렴한 석탄화력발전소를 먼저 가동하고 부족하면 LNG발전소를 돌리는데, 장거리에 위치한 발전소에서 이를 대응하기엔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2014년부터 사업에 뛰어들어 지금까지 약 4000억원 가량을 투자했는데 연로를 전환하게 되면 이를 매몰비용으로 처리해야 한다. 앞으로 전환을 위해 새로운 비용이 또다시 투입돼야 한다.
SK가스 관계자는 "LNG 전환 의향에 대해 산업부로부터 문의를 받았다. 하지만 고려할 사항이 너무 많아서 정한 것이 없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