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인도가 기회다③] 亞 경제 호황 이끄는 '슈퍼파워', 인도에 투자해

기사등록 : 2017-11-14 11:0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저성장 시대, 나홀로 성장폭 늘리는 핵심 '부상'
젊은 노동력, 거대한 내수, 경제정책 지원사격 '삼박자'

[뉴스핌=박민선 기자] 나홀로 역주행(?)이다. 글로벌 주요 선진국이 저성장 시대에 돌입하고 한때 14.2%까지 치솟았던 중국마저 성장률이 6%대로 내려앉은 상황에서 인도의 성장률은 지난해 7.1% 수준에서 내년 7.7%선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고스란히 투영되면서 인도 증시 역시 뜨겁다. 올해 30% 상승하며 신고가를 경신하는 호황이 이어진다. 인도의 잠재력에 베팅하는 것은 외국인 투자자만이 아니다. 예금을 기본 투자법으로 활용하던 개인들 투자패턴까지 바뀌면서 시장 전반을 둘러싼 열기가 달아오르는 상황이다.

 젊은 노동력이 이끄는 경제 성장 엔진

투자시장으로 인도를 바라봐야 할 이유는 다양하다. 글로벌 경제 분석 기관들이 인도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꼽을 때 빠지지 않는 핵심은 단연 '젊은 노동력'. 세계 2위 인구 대국(12억6688만명, 16년 7월 기준)인 인도의 인구는 중국과 1억명 정도 차이에 불과하다.

"인도의 성장세가 아시아 경제의 세번째 번영기를 맞게할 것이다." 지난 9월 블룸버그 통신은 딜로이트 인도의 경제 분석자료를 인용해 '인도가 글로벌 경제를 이끄는 슈퍼파워가 될 것'이란 내용을 다뤘다.

해당 자료에서 주목하는 포인트 역시 젊은 노동력. 아니스 차크라바티 딜로이트 인도 이코노미스트는 "인도는 향후 10년동안 아시아 인력 증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이다. 특히 단순히 숫자의 증가일 뿐 아니라 이전보다 훨씬 잘 훈련되고 교육받은 새로운 인력이다. 이로 인해 인도의 경제 잠재력이 높아질 것이고, 이것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거대하다"고 분석했다.

<이미지=블룸버그통신 캡쳐>

실제 UN은 오는 2024년 인도의 인구가 중국을 추월한 뒤 2050년에 약 17억명 수준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생산가능인구의 지속적 증가는 경제 성장세를 유지시키는 중심축으로 인도의 성장에 따른 아시아 경제 성장이라는 전망 역시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지난 2005년 5% 수준에 불과했던 중산층 규모도 오는 2025년 41% 수준까지 불어나 내수시장의 확대도 기대감을 키우는 요인이다.

정부의 친시장 경제정책 역시 투심을 자극한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2014년 5월 취임 이후 외국인 투자 유치 및 제조업 육성을 중심으로 이른바 '모디노믹스(Modinomics)'로 경제 부상에 발동을 걸었다. 단일부가세(GST)와 외국인직접투자(FDI), 화폐개혁으로 이어지는 정부의 정책은 경제 활성화의 밑거름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기존 120억루피였던 외국인투자 사전심사대상 한도액을 300억루피로 상향하면서 FDI 규모도 꾸준히 증가 추세다. 다양한 인프라 확충과 건설산업에도 외국인 투자가 확대되면서 장기 경제 성장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인도의 건설 및 인프라산업은 오는 2025년까지 매년 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제한된 직접투자, 간접투자로 돌아가라

인도 증시가 급등하면서 속도 조절론도 일각에서 제기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최근 늘어나고 있는 해외 투자 흐름에서 인도가 새로운 대안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무엇보다 인도 기업들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고점에 대한 불안감을 상쇄시키기 위한 핵심 요인이다. 인도 증시는 2008년 이래 연간 기업이익이 역성장세를 기록한 바 없는 국가로 MSCI 47개국 중에선 미국, 인도, 베트남이 유일하다. 시장 전문가들은 인도 기업의 실적 성장세가 내년에도 가파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현재 국내 투자자들이 인도에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은 간접투자가 가장 현실적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직접 주식 매매를 허용하고 있는 미국, 중국, 일본 등과 달리 인도는 외국인 투자등록제도를 시행한다. 개인이 직접 현지 관리당국에 등록하지 않는 이상 직접투자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KG제로인에 따르면, 올해 35% 오른 중국 펀드에 이어 인도 펀드는 28%대 성과를 기록하며 국가별 기준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오현석 삼성증권 글로벌투자전략센터장은 "인도의 투자 유망성에 대해 연속성을 갖고 추천하고 있다"면서도 "현지 증권사와 협업 등을 통한 주식 직접 투자 방법 등도 제한적이어서 펀드 등이 유일한 수단이다. 규제로 인해 불가능한 만큼 가능한 선에서 분산투자를 할만한 대안"이라고 조언했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기자 (pms071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