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김정호의 4차혁명 오딧세이] 아마존 인공지능 플랫폼 '알렉사'의 비밀

기사등록 : 2018-02-05 15:0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아마존 알렉사 이용하면 내 행동 패턴 제공하는 격
아마존이 인간 데이터 수집할 수록 주가 우상향할 것

인간의 내밀한 행동 드러나는 부엌 점령한 아마존

스마트 홈 개념에서 출발해서 인공지능(AI), 빅데이터와 연결되는 서비스는 아마존의 알렉사(Alexa)가 시작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알렉사는 아마존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아마존의 스마트 스피커 '아마존 에코'에 내장돼 음악재생, 알람설정, 날씨정보 제공, 교통정보 제공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아마존 알렉사의 기능은 생각보다 다양하고 풍부하다. 특히 알렉사는 부엌에 설치돼 주부나 가족들과 대화하고 감정을 교류한다. 알람으로 깨고 음악을 들으면서 그날 일정을 체크하고, 인터넷으로 상품을 주문한다. 그날의 음식을 추천받고 레시피도 제공받는다. 날씨도 체크하고 구글 캘린더와 연결해 그날 일정과 할 일도 점검받고, 자녀들의 등교 준비 목록도 체크한다.

알렉사는 일기예보와 다양한 뉴스를 제공한다. 또한 알렉사 지원 장치들은 아마존 뮤직 계정에서 음악을 스트리밍한다. 알렉사를 이용해 시장도 보고 다양한 테이크아웃 음식을 주문할 수도 있다. 출근길 도로 교통상황도 전달받아 승용차로 출근할 지, 지하철로 출근할지, 버스로 출근할지도 추천 받는다. 또 그날 입고 나갈 옷도 추천받는다. 더 나아가 가족의 감정 상태와 건강 상태도 점검한다. 대화로 메일을 보낼 수 있다. 메일을 말로 읽어 주기도 한다.

아마존 알렉사의 구조. 출처: 구글..


이렇게 하면 아마존이 부엌 공간에서 얻을 수 있는 빅데이터는 무궁무진하다. 이처럼 가치 있고, 솔직하고, 가정 내에서 친근하게 생성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한 장치가 음성 인식 기능이다. 인간과 친해지기 위해서 인간의 언어를 알아 들을 수 있어야 한다. 말로 주문하고, 대화하고, 추천하고 메일도 보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부엌에선 손을 많이 쓴다. 출근 준비를 하고 음식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음성 인식과 대화 기능이 중요하다. 그리고 주부의 감정 상태를 파악해서 그에 맞고 가족의 구성과 환경, 나이에 맞는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알렉사는 영어 등 외국어로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한다. 앞으로 독일어, 힌두어와 일본어가 추가 될 것이라고 한다. 알렉사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알렉사를 자주 사용할수록, 알렉사는 사용자가 말하는 패턴, 단어, 개인적인 기호 등을 학습해서 더 잘 받아들인다. 더 나아가 알렉사에는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기 위한 딥러닝 인공지능이 필요하다.

알렉사가 수집하는 것은 인간의 소비 행태 데이터

결국 아마존의 알렉사가 추구하는 것은 부엌 공간에서 인간이 소비하는 감정, 행동, 물질 데이터를 최대한 획득하자는 것이다. 그것을 통해 구매 추천을 하고, 동시에 구매 정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음식 재료를 미래 예측해서 음식 재료 시장을 장악할 수 있다. 책, 음악, 식당, 여행 예약을 대행해 줌으로써 각 시장에 광고 수입을 얻거나 시장 자체를 점유할 수 있다. 부엌에서 할 수 있는 구매 활동으로는 음악, 영화표, 책, 기차표, 비행기표, 호텔, 식당, 식재료, 일용품, 가정 소모품, 옷 등이 있다.

알렉사는 전자 상거래 시장을 확대 장악할 수 있다. 아마존은 비용이 작고 미리 수요를 예측하며 동시에 최단 거리에 창고에 예상 상품을 준비해 놓을 수 있다. 이제 스마트폰이 아니라 스피커를 통해서 주문 예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가정에서의 인간 활동을 탐지해 낼 수 있다. 전기 사용량, 가스 사용량도 예측할 수 있다. 에너지 시장과도 연계된 사업도 가능하다.

데이터를 인간에게서 최대한 탈취하기 위해선 인간이 가장 편안한 심리적 상태를 끄집어내야 한다. 아마도 집이 그 공간 아닐까. 그래서 '집 떠나면 고생'이라고 하지 않는가? 아마존은 데이터 수집 공간을 컴퓨터나 스마트폰, 자율주행자동차 뿐만 아니라 이제는 가정 안으로 침투하고 더욱 더 편안한 부엌으로 확대한 것이다.

또한 개인이나 가족이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을 고려했다. 인간이 하루 동안 같이 지내는 시간을 보면 스마트폰 12시간, 침대 6시간, 소파 2시간, 부엌 2시간, 자동차 2시간으로 볼 수 있다. 인간이 생산해 내는 데이터는 이 시간과 공간적 솔직함, 편안함에 비례한다. 부엌은 상당히 개인적인 공간이다. 가족 이외에는 들어오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당히 진실된 데이터를 확보 가능하다. 그리고 부엌에서의 소비활동을 무시할 수 없다.

알렉사가 있는 부엌, 출처: 구글.

아마존, 인간 데이터 수집할 수록 주가 오를 것

아마존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인 제프 베이조스가 세계 최초로 재산 1000억 달러(약 100조원)를 가진 부자가 됐다고 한다. 블룸버그 통신은 베이조스가 최근 아마존의 주가 상승에 힘입어 1051억 달러(약 112조 원)의 개인재산을 보유하게 됐다고 전했다. 아마존의 시가총액은 지난 2017년 1년간 57%나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추수감사절부터 크리스마스까지 5주간 미국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 중 89%가 아마존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는 국가건 기업이건 데이터 전쟁에서 승리하는 기관이 승리하게 돼 있다. 그 데이터 전쟁이 집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아마존은 TV나 냉장고는 만들지 못한다. 그러니 작은 스피커를 집안에 싼 값에 설치하고 데이터 전쟁에 진입하고자 하고 있는 중이다. 앞으로는 아마존 소파, 아마존 침대, 아마존 책상이 등장할 지도 모른다. 아마존은 인간이 얼마나 오래 같이 근처에서 시간을 지내고 편안한 상태에서 인간의 욕구를 끌어내기 위한 장치를 찾고 있다. 그것이 아마존의 전략이다. 그래서 아마존의 주가도 계속 오르는 게 아닐까.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