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최근 뉴욕증시에 ‘발작’을 일으킨 1월 임금 상승이 겉으로 드러난 것만큼 위협적이지 않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달 비농업 부문의 평균 임금 상승률이 2.9%로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 투자자들 사이에 인플레이션 우려를 부추겼지만 세부 항목에서 드러난 실상은 물가나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을 재촉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얘기다.
채용 공고를 살피는 구직자들 <출처=블룸버그> |
지난 2일 노동부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비농업 부문 근로자의 80%를 차지하는 비관리직의 임금 상승률이 2.4%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 수 년간 평균 상승률과 상응하는 수치다. 전반적인 임금이 크게 뛴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다수의 근로자들에게 확산된 현상이 아니라는 얘기다.
실제로 지난 1월 관리자직의 임금이 5%에 달하는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고, 전체 수치가 가파르게 뛴 것도 이 때문이었다.
전체 비농업 부문 근로자 가운데 관리자직의 비중은 0.8%에 불과하다.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임금 상승이 지극히 소수 부류에서만 발생한 셈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임금 추이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1개월치 데이터에 근거해 중장기적인 물가 향방을 점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팬턴 매크로이코노믹스의 이안 셰퍼드슨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2월 관리자직 임금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도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같은 데이터 왜곡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2월과 7월 관리자직 임금이 각각 1.2%와 1.0% 오르면서 전체 임금 상승률을 0.3% 끌어올렸으나 추세가 이어지지 않았다.
또 다른 지표에서도 1월 임금 상승이 겉으로 드러난 것만큼 강하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1월 평균 근로 일수가 감소했고, 주간 기준으로 전체 임금 상승률은 2.6%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지난해 12월 3.0% 및 11월 3.1%에 못 미치는 수치다.
아울러 지난해 하반기 배당액과 이자 수입 등을 모두 포함한 소득이 늘어났지만 성장률을 감안할 때 오히려 뒤쳐진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연준 정책자들은 고용시장 개선과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긴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임금 상승이 즉각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인지 여부에 대해 일부 정책자들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최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 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켄터키에서 가진 연설에서 고용시장의 향상이 직접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노동 생산성이 지난 10년에 걸쳐 하락했고, 정책자들이 강한 반등을 기대하지 않는 만큼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시장의 예측이 성급한 판단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