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정경환 기자] 북한이 남북정상회담을 전격 제의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사가 누가 될지 주목받고 있다. 정상회담 사전조율 차원에서라도 문재인정부의 대북 특사 파견은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청와대는 북한의 남북정상회담 제의를 계기로 최대한 신속하게 대북 특사 후보군 검토에 착수할 방침이다.
지난해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이어갈 때도 비교적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던 청와대이지만, 남북정상회담이라는 '큰 사건' 앞에서 더 이상은 대북 특사 파견을 미룰 수 없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한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으로부터 김 위원장의 친서를 받았다. <사진=청와대> |
당장 청와대에서 문정인 통일외교안보특보, 임종석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이 대북 특사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나 서훈 국가정보원장도 거론된다.
또한 국회 쪽에서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 등이 물망에 오른다.
이 의원은 참여정부 국무총리를 하면서 당시 문재인 비서실장과 대북관계 개선에 손발을 맞췄던 사이다.
또 박 의원은 현재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은 아니지만 '호남계 DJ(김대중 전 대통령)' 후계를 자처하는 민주평화당의 거물 정치인이라는 점에서 민주당과 향후 범여권을 형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뒀을 수 있다. 박 의원은 문화관광부 장관을 맡고 있던 2000년 3월 DJ의 특사로 북한에 가서, 그 해 6월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산파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임동원·정세현 두 전직 통일부 장관들도 대북 특사 후보로 꼽힌다. 임 전 장관은 2000년 5월과 2002년 4월 그리고 2003년 1월까지 세 번의 대북 특사 경험이 있다.
노무현정부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는 당시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김만복 국정원장이 대북 특사로 활약한 바 있다.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도 대북 특사 후보군으로 들 수 있다. 그는 지난달 25일 한 행사에서서 "(대북 특사) 기회가 있으면 당연히 할 것"이라며 "국가를 위해 어떤 일이라도 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었다.
김여정 특사가 김정은의 혈육이라는 측면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 이희호 여사와 그 아들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그리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인 권양숙 여사 등도 특사로 북한을 방문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많은 이들이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이번 대북 특사로는 숨은 실세보다는 널리 알려진 공인이 발탁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북 특사 파견이 이미 공개된거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라는 이유에서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보통 특사라고 했을 때는 비밀 특사가 가동됐는데, 지금은 비밀리에 가는 상황은 아니다"며 "비밀로 갈 때는 숨은 실세나 측근이 가고 그랬지만, 이번엔 공식적인 대표성을 갖는 인물을 보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대북 특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정경환 기자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