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일본, 연호 둘러싼 특종 경쟁…부담감에 '셀프 낙종'도

기사등록 : 2018-03-07 14:0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모두가 궁금해하는 신연호…언론사에겐 취재력 증명의 장
담당 기자들, 직접 중국 고서 뒤져보며 후보안 마련하기도

[뉴스핌=김은빈 기자] 연호에는 시대가 담긴다. 적어도 연호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그렇다. 중국 전한 무제가 최초로 연호(건원·建元)를 사용한 것도 황제로서 자신은 영토뿐만 아니라 시간까지도 지배한다는 사실을 과시하려 했기 때문이다. 

일본의 덴노(天皇·일왕)도 일본에서는 한 시대의 상징으로 통한다. 쇼와, 헤이세이 등등 연호로 시간을 세는 일본에선 공문서를 비롯해 일상 곳곳에 연호가 스며들어있다.

연호가 바뀔 때마다 일본 내의 관심도 비상하다. 정부는 발표 전까지 새 연호가 누설되지 않도록 극비 중의 '극비' 취급을 한다. 물론 알리는 게 일인 언론에겐 특종 중의 '특종'감이다.

1989년 1월 7일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당시 관방장관이 헤이세이(平成)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NHK 화면 캡처>

◆ '극비 중의 극비'…오보에 '셀프 낙종'도

7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연호를 둘러싼 일본 언론의 취재 경쟁은 오래 전부터 치열했다. 모두가 관심을 갖는 사안인 만큼 영향력이 큰 데다, 철옹성같은 궁내청과 정부를 뚫고 정보를 얻어내야 해 언론사의 취재력을 증명할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다이쇼(大正·1912~1926)는 아사히신문의 신인기자였던 오가타 다케토라(緒方竹虎)가 최조 보도했었다. 쇼와(昭和·1926~1989)는 지지통신이 특종을 했다.

영향력이 큰 만큼 오보를 했을 때 충격도 크다. 대표적인 사례가 '고분(光文)사건'이다.

1926년 12월 25일 다이쇼 덴노 서거 직후, 도쿄니치니치신문(현 마이니치신문)은 "새 연호는 '고분(光文)으로 결정"이라고 호외를 냈지만, 이후 궁내청이 "새 연호는 쇼와(昭和)"라고 발표한 것이다. 대형 오보사건에 도쿄니치니치신문사 사장은 사임을 표명했다. 이후엔 편집국 주간이 사임을 했다.

고분 오보 사건의 영향은 63년이 지난 1989년 헤이세이 연호 발표에까지 이어졌다.  

당시 마이니치신문은 과거의 치욕을 설욕하겠다는 의지로 연호특종팀을 가동했다. 그리고 마이니치 연호특별취재팀은 발표 전에 새로운 연호가 '平成(헤이세이)'라는 정보를 고위 관계자로부터 어렵게 입수했다. 정치팀은 서둘러 석간 준비를 완료했다. 인쇄기만 돌리면 특종이었다. 

하지만 과거의 '망령'이 발목을 잡았다. 마이니치신문 편집국 회의에서 의견이 둘로 나뉘었다. 담당 데스크는 "이번에도 고분사건처럼 오보일 수 있다"며 크로스체크를 요구했다. 반면 정치팀장은 "'헤이세이'가 유출됐다는 걸 알게되면 정부가 바꿀 수도 있으니 크로스체크는 위험하다"라고 맞섰다. 

크로스체크를 할 수 없다는 입장에도 근거가 있었다. 고분사건 이후 30년이 지난 1956년, 당시 궁내청 편찬국 편찬관보였던 나카지마 리이치로(中島利一郎)가 방송에 출연해 "원래 다음 연호는 고분으로 하려했지만, 발표하기도 전에 언론에 유출이 돼버려 쇼와로 바꿨다"고 말했던 것이다. 

한번 더 체크하자는 입장과 보도해야한다는 입장이 맞서는 사이 시간은 흘렀다. 결국 '헤이세이'는 정부의 발표로 세상에 알려졌다. 마이니치신문은 '셀프 낙종(특종에 실패)'한 셈이 됐다.

◆ 사서오경 뒤져보고 직접 리스트 작성까지

신문사는 연호 발표시기가 가까워졌다고 느끼면 저마다 연호특별팀을 꾸린다. 

헤이세이(1989년~)의 경우 아사히신문은 1987년부터 준비에 들어갔다. 당시 담당기자 중 한 명이었던 우에키 치카코(植木千可子)는 중국의 고서 '사서오경'을 펼쳐가며 약 100여개의 연호 후보를 추렸다. 그 안에는 헤이세이(平成)도 있었다.

당시 아사히 신문의 관방장관 담당기자였던 호시 히로시(星浩)는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당시 관방장관의 사택을 방문해 우에키 기자가 작성한 리스트를 보여주면서 취재를 시도했다. 오부치 장관은 당시엔 적당히 얼버무렸지만 '헤이세이'가 발표된 뒤엔 "솔직히 그땐 심장이 멎는 줄 알았다"고 회고했다.

전담 기자들은 연호 후보를 고안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물들에게도 접근해 밀착취재를 진행한다. 우에키 기자의 경우 우노 세이치(宇野精一) 도쿄대 명예교수가 고안자라고 짐작해 출장에 동행하거나, 함께 바둑을 두면서 취재를 거듭했다. 헤이세이가 발표되던 당일엔 우노 교수의 자택에서 함께 신연호 발표를 라디오로 함께 듣기도 했다.

우에키 기자의 감은 정확해 우노 교수는 실제 연호 후보안을 제출한 당사자 중 한명이었다. 다만 우노 교수가 제출한 안은 헤이세이가 아니라, 최종 후보 3개 안에 올랐던 세이카(正化)였다.

우에키 기자는 "헤이세이 발표는 현행 헌법 하에서 처음으로 바뀌는 연호였기 때문에 의미가 남달랐다"고 회고한다. 

내년 4월 30일 아키히토(明仁) 덴노는 퇴위를 하고, 헤이세이(平成) 시대도 31년으로 막을 내린다. 나루히토(徳仁) 황태자가 즉위하면 이에 맞는 새 연호가 시작된다. 언론사들은 이번에도 저마다 연호 취재팀을 가동하며 '특종 경쟁'에 나서고 있다.

"국가의 '극비'와 취재의 '터부'를 가능한 한 줄이는 건 국민의 알 권리 확대와도 연결됩니다. 연호 취재의 의의는 30년이 지난 지금도 마찬가지일 거라 생각합니다" 우에키 기자의 한마디가 여운을 남기는 이유다.  

  

[뉴스핌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