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수 차례 선전포고 끝에 트럼프 행정부의 500억달러 규모 관세 부과 결정은 중국을 상대로 본격적인 무역전쟁을 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농산물부터 항공기, 미국 국채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대대적인 보복이 이뤄질 것이라는 경고가 끊이지 않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경한 행보에 제동을 걸지 못했다.
미국의 수출입 항만 <출처=블룸버그> |
관세 발표 이후 윌버 로스 상무장관은 “중국의 보복이 뒤따르겠지만 이는 세상의 종말이 아니다”라며 강력한 전의마저 내비쳤다.
22일(현지시각) 트럼프 행정부가 전격 발표한 연 500억달러 규모의 관세는 전체 연간 중국 상품 수입액의 10%에 해당한다.
미국 정부는 500억달러가 중국 정부의 압박에 의한 조인트벤처 설립으로 미국 기업들이 중국에서 떠안은 손실액과 맞먹는 수치라고 주장하고 있다.
중국의 불공정한 정책에 따른 미국 기업의 손실액만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통해 벌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구체적인 관세 적용 품목 발표가 15일 뒤로 예정돼 있지만 이번 조치가 로봇을 포함한 첨단 IT와 우주항공 등 전략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것이 주요 외신들의 해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결정에 대해 ‘첫 단추’라는 입장을 제시했다. 대규모 관세와 중국 기업의 투자 제한에 이어 앞으로 보호주의 장벽을 더욱 높일 가능성을 내비친 셈이다.
백악관의 한 고위 정책자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익명을 요구한 인터뷰에서 “미국의 기술 종자를 도둑질 당한 데 따른 피해 규모는 계산이 불가능한 실정”이라며 중국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냈다.
이날 CNBC도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2주 동안 추가적인 관세 시행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보도해 중국을 향한 ‘펀치’가 일회적인 조치로 끝나지 않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시장과 외신들의 앵글은 중국에 집중됐다. 전세계 1~2위 경제국의 무역전쟁이 어떤 수위로 전개될 것인지는 미국만큼이나 중국에 달린 사안이라는 지적이다.
농산물을 포함해 중국 정부는 미국산 수입품에 합당한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힌 상황이다.
브로드컴의 인수가 좌절된 퀄컴 <사진=블룸버그> |
이날 중국 정부의 보복 타깃으로 꼽히는 보잉 주가가 4% 급락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특히 커다란 충격을 입을 것으로 보이는 업종을 가려내는 데 분주한 움직임이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자동차를 제외한 자본재 대중 수출이 474억달러로 선두를 기록했고, 산업재 및 소재(419억달러), 여행(322억달러), 음식료(184억달러), 자동차 및 차 부품(142억달러) 등이 중국 의존도가 높은 수출 항목으로 파악됐다.
무역전쟁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신임 의장이 취임 후 첫 통화정책 회의에서 경제 펀더멘털의 가장 커다란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할 만큼 뜨거운 쟁점이다.
최악의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무역전쟁이 가시화되지 않더라도 양국의 교역이 마찰음을 내면서 글로벌 경제 전반에 충격을 가할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날 무역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타격이 2020년까지 47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일부 시장 전문가는 관세 부담을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떠안게 되면서 미국 경제 성장이 꺾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키 프라이빗 뱅크의 브루스 맥케인 최고투자전략가는 CNBC와 인터뷰에서 “무역전쟁이 경제와 금융시장을 더욱 압박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상황 전개를 지켜봐야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경제에 흠집을 낼 것이라는 데 이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보호주의 정책으로 세계화에 역행하는 한편 무역전쟁을 일으킨 주범이라는 지탄을 받고 있지만 중국 역시 미국의 관세 결정에 대해 국제사회의 동정을 얻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중국이 IT와 금융, 자동차 등 주요 산업의 시장 개방에 지극히 소극적인 움직임을 취한 만큼 주요국들 사이에 불만이 작지 않다는 지적이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