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광고

[최헌규의 금일중국] '유커, 못오는 게 아니라 안오는 것'

기사등록 : 2018-04-04 17: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지난달 중국인 친구가 10년 서울 생활을 마치고 중국으로 돌아갔다. 귀국 선물로 우리의 전통 공예품을 하나 준비하려고 여기저기 다녀봤으나 마땅한 물건을 찾기 어려웠다. 인사동과 남대문시장 일대 그 많은 민속공예품 가게에도 자개 문갑 정도가 눈에 띌 뿐 한국 전통을 대표할만한 마땅한 선물거리가 없었다.

한참 고민끝에 갑자기 연초 찾았던 창덕궁내 찻집 기념품 진열대가 떠올라, 결국 이곳에 달려가 청화 도자기 장고 하나를 어렵사리 구입할 수 있었다. 유커의 눈으로 냉정하게 서울 여행의 기념품 판매처를 둘러볼 기회를 가진 셈인데 맘에 드는 기념품을 찾기가 너무 힘들다는 느낌이 들었다.      

사드 갈등으로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발길이 끊긴지 1년이 넘었다. 중국인을 상대하던 가게와 음식점 사장들은 요즘 경기가 어떻냐고 물으면 눈살을 찌푸리며 손사래부터 친다. 기자의 초등학교 동창들로 동대문과 남대문 시장서 각각 패션과 엑세서리 가게를 하는 사장들은 하나같이 전에 비해 매출이 절반 날라갔다며 볼멘소리다. 이러다 보니 중국인 접객 업소들은 마치 천수답 농부가 하늘만 쳐다보듯 유커의 귀환에만 목을 메는 형국이다.

하지만 단체 관광 중단 1년이 넘고 사드갈등에 대한 합의가 발표된지 반년이 됐는데도 그토록 갈망해온 유커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한령이 풀리고 유커가 돌아올 것이라는 말만 무성할 뿐 실제 유커들로 북적이던 제주도와 서울의 명동 신촌 거리엔 중국말이 잘 들리지 않고 있다. 지난달 말 방한한 양제츠(楊潔篪)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위원은 우리 대통령을 만나 ‘유커가 돌아올 것’이라고 공언까지 했으나 직후 청명절 소황금주(4/4일~4/8일)를 맞았음에도 깃발부대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최근들어 중국 지방정부의 한국내 활동, 엔터 업체와 문화 관련 분야에서는 뚜렷한 교류 회복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그렇다고 이런 물결에 실려 단체 유커까지 되돌아올 것이라고 보는 것은 섣부른 예단일 것 같다. 기자가 아는 산둥성 칭다오의 희성 여행사 대표는 4일 아침 “단체 유커 여행이 풀렸냐”는 기자 물음에 “당국은 한국행 단체 유커에 대해 금족령을 내린 적이 없다. 여행상품의 경쟁력 여부에 따라 모집이 되면 가지 않겠나”라고 딱 잘라 말했다.

지난 1년간 한국행 단체 유커가 자취를 감춘 사이 중국인 관광객들은 일본에 몰려가 쇼핑을 하고 태국에서 미식 여행을 즐겼다. 비싼 여행상품인 유럽 여행도 20%이상 늘어났다. 한국을 늘 해외 여행 으뜸 국가로 꼽았던 유커들의 해외 여행 패턴은 사드 1년 동안 이렇게 달라졌다. 유커가 돌아올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호언하지만 중국당국이 서울 여행을 가라고 자국민들의 등을 떠밀 수 없는 노릇이고 보면 유커의 귀환은 여전히 공허한 얘기로 들린다. 사드제재가 완화된다고 해서 서울과 제주에 예전처럼 유커 발길이 이어질 것이라고 속단하기 어려운 이유다.

지갑을 여는데 있어 중국인은 어느나라 사람보다 셈이 정확한 사람들이다. 캐리어에 담을 물건이 널려있고, 입과 눈을 즐겁게 하는 먹거리와 볼거리가 차고 넘쳐난다면 중국 유커들이 왜 한국행을 마다하겠는가. 앞으로도 유커 발길이 뜸하다면 그것은 사드때문에 못오는게 아니고 유인책이 없어 안오는 것일 가능성이 더 크다. 옛말에 ‘군자는 누가 나를 써주지 않는다고 조바심 내지 않고, 내가 어디엔가 쓰이게 됐을 때 스스로 준비없음을 탓한다’고 했다. 한국 관광 당국과 관광 유통업계도 당장 유커가 안보인다고 애를 태울게 아니라 언젠가 유커가 몰려올 때 뭘 자신있게 마케팅할 수 있을지, 대비가 부족함에 더 신경을 써야하지 않을까.

 

[뉴스핌 Newspim]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