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북미 회담 말 바꾼 트럼프, G2 무역협상도 뒤집나

기사등록 : 2018-05-23 04:1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트럼프 회담 연기 가능성 언급 후 중국 무역 협상 관련 발언 뒤집어
외신들, 관세 폭탄 보류 배경은 북한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천문학적인 관세 부과를 보류하기로 결정하면서 봉합된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리스크가 재점화될 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내달 회담을 취소할 가능성을 내비친 한편 지난주 중국과 무역 협상 결과에 만족스럽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블룸버그>

앞서 주요 외신들이 예상 밖의 관세 보류 결정에 북한이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었다고 보도한 상황. 이를 감안할 때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에서 한 발 물러서는 움직임이 ‘휴전’을 선언한 G2의 무역 협상 결과 역시 뒤집힐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통신사 ZTE에 대한 제재 완화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미국 기업과 거래가 단절되면서 경영 위기에 내몰린 ZTE를 구제하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던 것과 커다란 대조를 이루는 것이다.

ZTE에 대한 제재 완화는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의 조언에 따른 것으로,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국장을 중심으로 집안 싸움을 일으킨 사안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양국이 ZTE의 제재 완화 방안의 밑그림을 마련했다는 소식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다.

그는 이와 함께 지난 주말 연간 총 1500억달러 규모의 관세를 보류하기로 한 중국과 무역 협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밝혔다.

이 역시 중국의 농산물 수입 확대를 포함해 미국 협상 팀의 결정을 옹호했던 발언과 상반되는 것이다.

취임 이후 ‘말 뒤집기’로 정평났던 그가 또 한 차례 예측 불가능한 성향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보인 것은 북미 정상회담이 불발 위기를 맞은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관련 발언이 달라진 것은 김 위원장과 회담을 연기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나온 것이다.

이에 앞서 블룸버그는 워싱턴 소식통을 인용,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시행을 보류한 것은 내달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을 매끄럽게 진행하려는 의도가 깔린 결정이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북 경제 제재를 유지하도록 압박하는 한편 시진핑 국가주석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무역 협상에서 한 수를 물릴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과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국장의 불화를 포함해 경제팀의 이견과 정치권의 후폭풍 경고 역시 관세 보류에 무게를 실었지만 북한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다는 것.

투자자들의 회의적인 시선 속에 진행된 G2의 2차 무역 협상 결과는 이달 초 중국 베이징에서 서로 선전포고만 주고 받은 채 종료된 1차 회의와는 커다란 대조를 이뤘다.

중국의 대미 무역수지 적자를 2000억달러 줄일 수 있는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았지만 천문학적인 규모의 관세를 보류하기로 결정, 전면적인 무역전쟁 리스크를 해소한 것은 예상밖이었다.

협상 결과에 대한 미국 언론의 평가도 부정적이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뉴욕타임즈(NYT)는 이번 무역 협상에서 중국이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가 미국산 농산물 수입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고, 수입산 자동차 관세를 도매가 기준으로 종전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지만 이는 앞서 발표했던 1500억달러의 관세와 3700억달러의 무역적자와 비교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내달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 이후 미국이 중국에 대해 강경한 행보를 취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회담 연기 가능성을 제시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매파’ 목소리를 내면서 이 같은 관측이 현실화된 셈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북미 정상회담이 좌초될 위기를 계기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면전이 재점화될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