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조선업 부활 기지개] 10년 불황터널 빛이 보인다

기사등록 : 2018-06-18 14: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 1분기 수주량 중국 제치고 세계 1위
조선 '빅3' 재무구조 개선·구조조정 막바지
"해운부문 선복과잉 해소…시장회복 낙관"

[편집자] 글로벌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달 한국 조선사들은 총 55만CGT(15척, 점유율 55%)를 수주,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5월까지 누적 수주에서도 한국은 현재 1위를 기록중이다. 한국 조선업계는 지난 2011년 이후 작년까지 7년 연속 연간 선박 수주량 1위 자리를 중국에 내준 상태다. 이대로라면 올해 한국은 8년만에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복귀할 전망이다. 조선업계는 현재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본격 일감 확보에 나서며 부활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2008년 금융위기 때 이미 뱃값이 40% 떨어진 상태였습니다. 그 전에 수주한 배로 이후까지 흑자가 난 것뿐이죠. 10년 전부터 불황이 오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런데 '골이 깊으면 산이 높다'고, 10년 동안 고생을 했기 때문에 아마 2020년경부터는 정상적으로 공장에 일감이 어느 정도 있으리라고 봅니다."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부회장은 지난 4월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언급했다. 권 부회장은 "벌커,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컨테이너선은 중국과 가격 차이는 크지만 우리가 건조를 압도적으로 잘한다고 보기 힘들다"며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특수선 등의 선종에서 기술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때 세계 1위를 호령했던 한국 조선업이 긴긴 불황의 터널을 빠져 나오고 있다. 권 부회장의 진단대로라면 강산도 변한다는 10년 동안 불황을 겪은 후 서광이 비치고 있다. 아직 본격적인 회복을 말하기는 이르지만 곳곳에서 '부활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한국이 중국을 제치고 수주량 기준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지난 2011년 이후 작년까지 연간 수주량에서 7년째 중국에 밀리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1월 올해 첫 현장 방문지로 대우조선해양의 거제 옥포조선소를 찾아 "세계 1위 해양강국의 비전은 포기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며 "이 힘든 시기만 잘 이겨낸다면, 우리가 다시 조선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LNG 연료선 중심으로 일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다하겠다"며 "우선 이 불황기를 잘 견딜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당부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초 첫 산업현장 방문으로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를 찾았다. [사진=청와대]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올 상반기 1조원 넘는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끝내고, 하반기부터 해양플랜트 등으로 수주를 확대할 계획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정성립 사장이 연임에 성공하며 구조조정의 고삐를 더욱 죄고 있다.

법정관리 중인 성동조선해양과 STX조선 등 중소 조선사들도 대규모 인원 감축을 통한 생존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정부는 지난 4월 '조선산업 발전전략'을 마련, 5조5000억원 규모의 공공 발주에 나서는 등 조선사들의 일감 확보 지원에 나섰다.

◆ 2008년 이후 내리막…2020년 환경규제 재도약 기회

2000년대 초중반까지 독보적 세계 1위를 유지했던 한국 조선업은 2008년 리먼브러더스 사태와 함께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세계 경제가 위축되며 조선 발주가 줄기 시작했고, 2014년부터는 국제 유가가 급락하며 국내 조선사들의 강점이던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대규모 손실이 났다.
결국 2015년부터 정부 주도로 조선업 구조조정에 나섰고, 대우조선해양에는 10조원 가까운 자금이 투입됐다. 현대와 삼성중공업은 고강도 자구안을 마련, 대규모 인원 감축에 나섰다. 그 과정에서 일부 조선사들은 문을 닫았고, 성동조선해양과 STX조선해양 등 중소 조선사들은 법정관리를 통해 가까스로 연명하고 있다.

국내 조선사들이 이처럼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하는 사이 전 세계 조선 경기는 조금씩 회복되는 모습이다. 조선업 경기 전망업체인 영국의 클락슨에 따르면 전 세계 물동량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선박 발주도 향후 10년간 연평균 1200억달러(약 127조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이는 지난 2016년 글로벌 수주량보다 3배 이상 많은 수치다. 글로벌 조선 업황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미국과 중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내년부터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홍성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 시장이 개선되고 있고, 특히 1분기에는 우리 업체들이 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 기준 수주량에서 중국(32.3%)을 제치고 세계 시장 점유율 41.9%를 기록하면서 1위를 했다"며 "세계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해운 부문도 선복과잉 해소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시장 회복은 비교적 낙관적인 편"이라고 전망했다.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 [사진=현대중공업]

특히 2020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전 세계 선박 배기가스 규제도 국내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 요인이다. 국제해사기구는 전 세계 선박 연료유의 황산화물(SOx) 함유량을 현행 3.5%에서 0.5%로 제한했다. 이에 따라 노후 선박 교체와 친환경 선박 발주 수요가 늘면서 일감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조선사들의 숨통을 터줄 전망이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2020년 글로벌 환경 규제는 기술력에서 앞선 국내 조선사들에 분명 기회가 될 것"이라며 "LNG연료 추진선 등 그동안 건조 경험도 많아 선주들로부터 신뢰가 강하다"고 말했다.

◆ 경쟁력 있는 조선소 중심 통폐합…엔지니어링 능력 강화 과제

그러나 현재 한국 조선업은 중국의 저가 수주 공세와 자율적 구조조정을 끝낸 일본 틈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되고 있다. 특히 일본 이마바리 조선소는 자국 8개 중소 조선소를 인수·합병(M&A)하며 세계 5위권 조선사로 성장했다. 최근 대형 선박 건조로 역량을 확대 중이다. 중국 역시 국영 조선소인 선박공업집단공사(CSSC)와 선박중공집단공사(CSIC) 간 합병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한국도 중장기적으로 현재의 노동집약적인 조선업을 핵심 기술이나 부품, 엔지니어링 등 부가가치가 높은 쪽으로 산업구조 재편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 업황이 회복되더라도 더 이상 과거와 같은 '슈퍼 호황'이 올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중국이나 일본은 물론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도 최근 조선산업을 키우고 있는데, 특징은 나라마다 큰 조선사 중심으로 통폐합을 통한 대형화"라며 "한국도 경쟁력 있는 조선소 중심으로 가되 엔지니어링 능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tack@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