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스피커에 갇힌 스마트홈, 5G로 시장확대 노린다

기사등록 : 2018-06-22 11:2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이통3사 스피커 기반 홈 미디어에 집중
포털기업도 스피커 올린, 서비스 한계 뚜렷
건설사 협력 강화, 새로운 킬러 콘텐츠 필요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내년 3월 5G 상용화를 앞두고 스마트홈 시장에도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인공지능(AI) 스피커에 집중하고 있는 이동통신3사 및 포털 기업들이 건설사 협력을 기반으로 사세 확대를 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홈 시장이 커지기 위해서는 음성제어나 보안을 넘어서는 새로운 킬러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홈 시장은 이통3사가 두각을 나타내는 가운데 포털사, 건설사, 제조사 등이 각축전을 보이는 양상이다.

이통3사의 강점은 IPTV와 AI 스피커, 그리고 스마트폰 연동이라는 융합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AI 스피커로 TV를 음성 조작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전용앱으로 스마트폰을 연동해 전화, 음악 등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성과도 좋다. 특히 LG유플러스의 ‘U+우리집AI’는 지난 5월 가입자 200만명을 돌파, 업계 1위 자리를 견고히 하고 있다. 키즈시장을 공략한 ‘아이들나라’ 콘텐츠가 제대로 먹혔다는 분석이다. 네이버(클로버)와 함께 만든 AI 스피커에 대한 평가도 높다.

가입자 200만을 돌파한 LG유플러스의 스마트홈 서비스 'U+우리집AI' 홈페이지 화면.

KT의 ‘기가지니’나 SK텔레콤 ‘누구’ 등 경쟁사들도 AI 스피커를 앞세워 스마트홈 시장을 공략중이다. 자체 플랫폼이 부족한 네이버는 자사 AI 스피커를 이통사와 연계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세를 넓히고 있다. 카카오는 오는 3분기 독자적인 스마트홈 플랫폼인 '카카오홈' 출시를 예고하기도 했다. 

ICT 기업들 모두 1차적으로는 스마트 스피커를 스마트홈 서비스의 핵심으로 활용하고 있다.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서비스 사용이 수월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스피커에만 집중한다는 한계도 뚜렷하다.

실제로 IHS가 미국, 영국, 일본, 독일, 브라질 이용자 937명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홈에 연결된 각종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AI 스피커를 사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6%에 불과했다. 스피커가 스마트홈 서비스의 메인 디바이스로 정착하기에는 어려움이 큰 이유다.

이에 이통사들은 스마트홈 서비스 영역 확대에 한창이다. SK텔레콤은 현대건설을 비롯해 약 40개 건설사와 제휴중이고 KT는 7곳, LG유플러스도 20여개 이상의 건설사와 손잡았다. 특히 5G 상용화 시점인 내년 3월 이후 고도화된 네트워크 기반, 복합적인 서비스 구축이 가능해 추가적인 협력 확대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국내 스마트홈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실제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는 새로운 스마트홈 서비스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네트워크가 고도화되도 자연스럽게 지갑을 여는 킬러 서비스가 없다면 소비자가 스마트홈의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이다.

위정현 중앙대학교 교수는 “사람들은 집안에 새로운 제품이 들어오는 걸 거부하기 마련인데 AI 스피커는 비교적 빠르고 손쉽게 생활 가전으로 정착했다. 하지만 실제 활용도가 높지 않는 것도 사실이다. 편리는 하지만 필수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부분의 사용자는 보안외에는 스마트홈 서비스의 필요성을 못느끼고 있다. 기업들이 스마트홈 시장을 새로운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서는 고객들이 없으면 불편함을 느끼는 서비스를 새로 만들고 거기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