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GAM] 8월 회사채 시장 발작과 伊 혼란 재점화

기사등록 : 2018-09-10 09:1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편집자] 이 기사는 9월 4일 오후 1시4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금리가 안정적인 추이를 유지했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2.8% 선에서 등락, 앞서 3.1% 선을 뚫고 오르던 상승 기류에 제동이 걸렸다.

월가 투자자들이 9월 연방준비제도(Fed)의 올들어 세 번째 금리인상을 확실시하고 있지만 아르헨티나와 터키의 위기 상황이 악화된 데다 이에 따른 충격이 신흥국을 강타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미 국채로 자금이 몰린 결과다.

하지만 신흥국부터 미국까지 회사채 시장은 발작 증세를 일으켰다. 이머징마켓의 투자등급 기업이 발행한 현지 통화 표시 채권의 수익률은 2016년 미국 연방기금 금리가 5.25%에 달했을 당시 수준으로 뛰었고, 달러화 표시 채권 역시 12년 전 수치에 바짝 근접했다.

이 때문에 신흥국 채권을 집중적으로 매입하는 월가의 펀드는 눈덩이 손실을 봤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을 포함한 운용사들이 8월 일제히 5% 내외의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고, 상황이 가까운 시일 안에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상황은 미국도 마찬가지. 국채 수익률이 박스권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지만 만기 1~3년 회사채 수익률이 8년래 최고치로 상승, 투자자들의 시선을 끌었다.

기업의 단기 자금 조달 비용이 가파르게 상승한 데 따라 신규 채권 발행이 급감, 회사채 시장 전반에 한파가 두드러졌다.

이 밖에 이탈리아 국채 수익률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정국 혼란이 진정되면서 주춤하는 듯했던 이탈리아 국채 수익률은 포퓰리즘 정당이 EU 기준치를 웃도는 예산안을 편성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재차 치솟았다.

시장 전문가들은 9월 연준의 통화정책 회의에서 12월 긴축 여부에 대한 힌트를 주시하고 있다. 8월 잭슨홀 심포지움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지속할 뜻을 밝힌 동시에 인플레이션과 실물경기의 과열 신호가 엿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당시 발언이 투자자들 사이에 비둘기파 기조로 해석되면서 뉴욕증시가 상승 탄력을 받은 가운데 12월 추가 금리인상 여부에 대한 발언이 연말까지 금융시장 향방에 작지 않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 미국-신흥국 회사채 수익률 브레이크 없는 상승 

신흥국의 달러화 표시 투자등급 회사채 수익률이 4.82%까지 뛰었다. 금융위기 이전 미국 연방기금 금리가 5.25%였던 당시와 거리를 114bp(1bp=0.01%포인트) 좁힌 것. 신흥국 국채 수익률 역시 12년전 수치와 간극을 95bp로 축소했다.

이 같은 상황은 미국 연방기금 금리가 2%에 불과한 점을 감안할 때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이 월가의 얘기다. 신흥국 채권으로 투자 자금이 유입될 법한 상황에 스프레드가 지속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는 것.

시장 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을 이유로 제시했다. 아르헨티나와 터키 사태가 악화되는 데다 미국의 제로금리 정책 이후 불어난 신흥국의 부채 규모에 대한 경계감이 자금 흐름의 방향 전환을 가로막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흥국의 GDP 대비 부채 규모는 2012년 이후 두 배 급증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상승 사이클과 달러화 강세는 디폴트 리스크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는 여건에 해당한다.

일부 투자은행(IB)은 신흥국 채권 금리가 가파르게 뛴 것은 투자자들이 디폴트 가능성을 적극적을 반영한 데 따른 결과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신흥국 채권 펀드는 제대로 쓴 맛을 봤다. 블랙록이 운용하는 자산 규모 56억달러의 펀드에서 8월 6.72%에 달하는 손실이 발행했고, 스톤하버의 펀드도 같은 기간 6.43%의 손실을 냈다.

이 밖에 골드만 삭스와 웰링턴, 뉴버거 버먼, 베어링스, 핌코 등 월가의 공룡 운용사들이 신흥국채권에 베팅했다가 일제히 5%를 웃도는 손실을 기록했다.

미국 회사채 시장 역시 일대 혼란을 연출했다. 만기 1~3년의 투자등급 회사채 수익률이 3.19%까지 상승, 8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준이 올해 두 차례의 금리인상을 단행한 데 따른 영향 이외에 애플을 포함한 IT 업체의 ‘팔자’가 수익률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애플과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등 IT 대기업은 지난 수년간 회사채 시장의 ‘큰 손’으로 자리매김 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메릴린치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매 분기별 회사채 매입 규모가 250억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IT 업계가 연초 이후 분기 별로 500억달러의 매물을 쏟아냈고, 이 때문에 회사채 수익률이 국채 시장의 안정과 무관하게 상승 기류를 탔다.

◆ 이탈리아 다시 ‘뜨거운 감자’ 

이탈리아 채권에서 해외 투자자들이 ‘썰물’을 이룬 한편 수익률이 최고치에 근접했다.

대통령 선거 이후 정치권 혼란에 홍역을 치렀던 이탈리아 채권시장이 다시 들썩인 것은 포퓰리즘 정부가 오는 10월 EU에 제출할 예산안을 둘러싼 리스크 때문이다.

첫 예산안을 둘러싼 협상 과정에 소음이 끊이지 않은 데다 재정적자를 GDP의 3% 이내로 제한한 EU의 규정에 위배되는 예산 집행을 강행할 것이라는 우려가 번진 것.

이 경우 이른바 ‘안티 EU’를 포함해 이탈리아 정부가 유럽과 대립각을 세우게 될 여지가 높다. 투자자들이 이탈리아 채권을 팔아치운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지난 7월 2.4% 선에서 8월 말 3.21%까지 뛰었다.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수익률은 5월 기록한 고점 3.44%를 뚫고 오를 것이라는 경고다. 토론토 도미니언 은행은 수익률이 조만간 3.5% 선까지 뛸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신용평가사 피치는 정책 리스크를 앞세워 이탈리아의 재무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포퓰리즘 정권이 제노바 교량 붕괴를 이유로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강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내년 예산 집행에 EU의 재정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여지가 높다는 지적이다.

◆ 연준 9월 회의 관전포인트는 

9월 채권시장은 연준에 다시 시선을 집중할 전망이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채권 트레이더들이 예상하는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93%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12월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힌트다. 파월 의장이 잭슨홀에서 경기 과열 조짐이 없다고 판단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 긴축 사이클에 못마땅한 속내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만큼 당초 예고한 올해 네 차례의 금리인상이 강행될 것인지 여부가 주요 쟁점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 경우 앞서 500억달러 어치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와 충격의 강도가 크게 다를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2분기 미국 경제가 4.2%에 달하는 성장을 이뤘지만 관세 전면전에 따른 경기 한파가 가시화될 경우 연준이 이를 외면하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여기에 신흥국 위기 상황이 해소되지 않고 있어 12월 정책 결정을 둘러싼 연준 정책자들의 고민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