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카쇼기의 마지막 칼럼 “아랍에 가장 절실한 건 표현의 자유”

기사등록 : 2018-10-18 17:5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워싱턴포스트(WP)가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 출신 유력 언론인 자말 카쇼기(60)의 마지막 칼럼을 공개했다.

사우디 왕실에 비판적인 논조로 유명한 카쇼기는 지난 2일(현지시간) 터키 이스탄불 주재 사우디 영사관을 방문한 뒤로 종적을 감췄다. 터키 수사당국은 사우디 왕실의 지시를 받은 암살단이 그를 고문, 살해하고 시신을 절단했다고 발표했다.

WP의 국제부 논평 편집인인 캐런 에티아는 카쇼기가 이스탄불에서 실종된 다음 날 그의 번역자와 조수로부터 이 칼럼을 받았지만 그가 살아 돌아와 함께 편집할 것이란 희망에 게재를 미뤄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 그가 돌아오지 않을 것이란 사실을 인정하고 그의 마지막 칼럼을 싣는다며, 이 칼럼은 아랍 세계의 자유를 위한 그의 헌신과 열정을 완벽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에티아는 카쇼기가 아랍의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쳤다고 소개 글을 마쳤다.

다음은 17일 WP에 발표된 카쇼기의 마지막 칼럼 내용이다.

------------------------------------------------------------------------------------------------------

나는 최근 프리덤하우스가 발간한 ‘2018 세계 자유 보고서’를 보며, 중대한 사실을 알게 됐다. 아랍 세계에서 ‘자유 국가’로 분류된 나라가 오직 한 곳 튀니지뿐이라는 것이다. 요르단, 모로코, 쿠웨이트는 ‘부분적 자유 국가“로 분류됐고, 나머지 아랍국들은 ’자유롭지 않은 국가‘로 분류됐다.

자유가 보장되지 않은 아랍국에 사는 시민들은 정보로부터 차단되거나 잘못된 정보를 받고 있다. 이들은 아랍 세계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을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제대로 생각할 기회조차 박탈된 것이다. 정부가 국민들의 정신을 지배한다. 정부를 믿지 않는 이들도 다수 있지만, 대다수 국민들은 그릇된 이야기를 믿는 불의의 희생자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바뀔 가능성이 거의 없다.

지난 2011년 ‘아랍의 봄’이 도래하자 아랍세계는 희망에 가득 찼다. 언론인, 지식인, 국민들이 각자의 나라에서 더욱 밝고 자유로운 사회가 도래할 것이란 희망에 부풀어 있었다. 이들은 정부의 통제와 끊임없는 간섭 및 검열로부터 드디어 해방될 것이라 믿었다. 하지만 이러한 믿음은 곧바로 무참히 깨졌다. 아랍 세계는 이전 상태로 돌아가거나 이전보다 훨씬 가혹한 통제 상태가 됐다.

내 소중한 친구인 사우디 유력 작가 살레 알-셰히는 사우디 체제에 반대하는 논평을 썼다는 이유로 부당하게 징역형을 받았다. 이집트 정부가 이집트 유력 신문 알 마스리 알 야움이 출간한 신문을 모조리 압수했을 때도 동료 언론인들은 분노하거나 대응하지 않았다. 이러한 정부의 탄압은 더 이상 국제사회에 파장도 일으키지 않는다. 비난이 조금 일었다가 곧 기나긴 침묵이 이어질 뿐이다.

이로 인해 아랍 정부들은 언론을 침묵시키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누리고 있다. 한 때는 인터넷이 검열로부터 정보를 해방해주는 출구가 될 것이라 믿었던 적도 있다. 하지만 정보의 통제를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 정부들은 인터넷조차 엄격히 차단하고 있다. 정부는 현지 언론인들을 체포하고 특정 언론사의 수익을 해치기 위해 광고주들에게 압박을 가하기도 한다.

아랍의 봄 정신을 이어가는 몇 안 되는 오아시스가 있기는 하다. ‘아랍의 구질서’를 수호하려 정보를 통제하는 여타 아랍국과 달리, 카타르 정부는 국제 뉴스 보도를 계속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부분적으로 자유로운’ 튀지니와 쿠웨이트 언론조차 정부의 압력에 국내 문제만 다룰 뿐 더욱 광범위한 아랍세계의 이슈는 외면하고 있다. 언론의 자유가 가장 발전한 아랍의 보석이라는 레바논조차 양극화와 친(親)이란 헤즈볼라의 영향력에 물들어 있다.

아랍세계는 그야말로 ‘철의 장막’에 갇혀 있다. 이는 외부 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권력 다툼 중인 내부 세력들이 세운 것이다. 냉전 당시 미국의 국제방송공사(BIB)가 독일에서 동유럽 국민들을 향해 정보를 전달했던 자유유럽방송은 자유의 희망을 키우고 지속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랍도 이런 것이 필요하다.

뉴욕타임스(NYT)와 더불어 1967년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을 공동 인수한 WP는 앞장서서 내 칼럼을 영어로 번역해서 소개했을 뿐 아니라 아랍어로도 공개했다. 이는 매우 의미 있는 행동이다. 아랍인들이 자신들의 언어로 된 글을 읽어야 미국과 서방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이슈와 민주주의 복잡한 구성을 이해하고 논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랍세계는 아랍인들에게 국제 뉴스를 전달해 줄 새로운 형태의 자유유럽방송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보다도 아랍인들 스스로가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통로가 더욱 절실하다. 우리는 빈곤, 부실한 관리, 낮은 교육 수준으로 고통받고 있다. 선전선동을 통해 증오를 조장하는 국수주의 정부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 국제 뉴스를 전하는 독립적 통로가 있어야만 아랍인들은 아랍세계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터키에서 실종된 사우디아라비아 유력 언론인 자말 카쇼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gong@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