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진호 기자 = 내년도 국내은행업의 영업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분쟁 등 거시환경 불확실성에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규제 강화 등이 은행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개최된 '2018년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 [사진=김진호 기자] |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은행·보험 연구실장은 1일 금융연구원 주최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9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에서 “내년도 은행업 업황은 거시·규제·경쟁 환경 등 여러 리스크 요인 등이 산재해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거시환경 리스크 요인으로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재무건정성 취약 차주 부실을 지목했다. 또 미·중 무역전쟁과 신흥국 금융 불안으로 수출기업의 수익성이 강화되고, 내수업종 및 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부실이 증가하며 내수경기가 둔화될 여지가 있다고 내다봤다. 부동산시장 내 담보가치가 하락해 부실위험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의 비중을 높이는 과정에서 상환여력을 충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건전성 악화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규제환경 리스크 요인으론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정부의 규제 강화와 금융소비자보호 강화에 따른 규제 준수 비용 부담 증가를 꼽았다.
정부는 천문학적 규모의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 올해 신DTI(총부채상환비율)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가계대출 위주로 높은 수익성을 거둬온 은행의 영업행태도 다소 어려운 환경에 놓이게 됐다.
이 연구위원은 “주택담보대출, 전세대출 등 전방위적 대출규제 강화로 이자수익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신탁확대 등 비이자수익 증대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진입규제 개편에 따른 경쟁압력 증대도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제3, 제4의 인터넷전문은행 출범과 신탁사업자 추가 인가 등 진입규제 개편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변화에 맞춘 조직을 구축하고, 데이터 활용과 핀테크 협업 등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이 연구위원은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능력이 은행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데이터 정비, 전문인력 확보, 분석결과의 활용사례 증대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rpl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