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산업

ICT업계 “탄력근로 확대로 프로젝트 집중에 도움”

기사등록 : 2018-11-07 10:2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제품 출시 직전 근무강도 높은 특성 반영
주52시간은 무조건 지켜, 40시간 수준 유지
근무시간 큰 변화없어, 자율권 확대에 의미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가 탄력근로제를 6개월~1년으로 확대 적용하는 데 합의하면서 정보통신업계(ICT)도 환영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특정 시기에 근무가 몰리는 산업 특성을 반영할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탄력근로가 확대되고 주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해 직원들의 근무강도가 크게 높아지는 건 막는다는 방침이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탄력근로 확대를 가장 반기는 건 게임업계다. 게임 출시 직전 업무 강도가 높아지는 산업 특성상 필요한 시점에 노동력을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때문이다. 주52시간제 도입 이후 게임산업협회를 통해 탄력근무 적용기간 확대를 꾸준히 요구한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의 오찬 회동 모습. [사진=청와대]

현재 넷마블, 엔씨소프트, 넥슨 등 국내 주요 게임사들은 주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정하는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출시 직전 과도한 업무 집중으로 몸에서 부서지는 소리(크런치)가 날 정도로 힘들다는 이른바 ‘크런치모드’ 논란은 상당부분 해소됐다.

다만, 게임출시 직전 최종 점검 및 테스트, 보완작업 등을 집중해야 하는 산업 특성상 2주에서 3개월 단위로 주52시간을 맞춰야 하는 정책이 보다 유연하게 적용될 필요는 있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게임사 관계자는 “탄력근무를 확대 적용해도 1주 근무시간은 최대 52시간을 넘을수없다. 노동강도가 지금보다 크게 늘어날수는 없다는 의미”라면서 “일률적으로 1주일에 몇시간 이상은 일하지 말라는 게 아니라 특성에 따라 근무 강도를 회사가 직원들과 조율해 적용하는 자율권이 커질 수 있다는 부분에 의미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포털업계와 통신사들도 상황은 비슷하다. 이미 선택근무제를 도입했고 주40시간을 넘지 않는 선에서 근무를 조율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미래 먹거리 확보 차원에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사업에 주력하는 상황을 감안해 일률적인 근무방식을 보장하라는 ‘강제’가 아닌 유연한 근무환경을 구축하라는 권한을 부여했다는 점에 관심을 두고 있다.

특히 ICT업계에서는 그동안 규제 중심으로 구성된 관련 정책들이 이번 변화를 계기로 산업 특성을 반영한 네거티브 정책(최소한의 규제만 정하고 나머지는 모두 허용하는 방식)으로 전화되기를 희망하는 모습이다. 

차재필 인터넷기업협회 실장은 “탄력근로 확대가 확정되지 않았기에 기업들의 의견이 모아진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산업 특성을 반영한 변화가 있다는 건 의미가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peterbreak2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