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글로벌

“美·中무역전쟁, 글로벌공급망 재편 촉발·자국 생산 늘린다” - 배런스

기사등록 : 2018-11-13 09:0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조재완 기자 = 중국 생산라인에 매달려온 미국 기업들이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조짐에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경제매체 배런스가 지난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내년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미국의 추가 관세율이 10%에서 25%로 인상된다. 

그간 중국의 값싼 인건비와 수송비, 원자재비에 의존한 기업들은 근 수십년간 유지된 글로벌 공급망을 다시 검토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조달 및 공급망 전략 컨설팅사인 GEP의 로라 파웰 부사장은 “전 세계 공급망 재편은 다수 기업들이 최우선 순위로 고려하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양국이 관세폭탄을 주고 받기 무섭게 직격타를 맞은 엔진 및 터번 업체 커민스(Cummins)는 인도 생산 비중을 늘렸고, 공구기업 스탠리블랙앤데커(SWK)는 제품가를 인상해 부담을 소비자들에게 전가했다. 폴라리스 인더스트리(PI)는 고율 관세 분담을 위해 중국 부품업체들과 협상을 벌이는 중이다. 기업들이 저마다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기존 생산 공정을 당장 바꿀 수 있는 기업들은 사실상 없다. 현재로서는 가격 인상이나 마진 하향 조정 등 단기적 수단으로 관세에 대응할 뿐이다.

그러나 이미 답을 찾기 시작한 ‘현명한’ 곳도 있다. 배런스 조사에 따르면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나기 전부터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 상장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에 관해 고심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분기 기업 실적 발표에서 “공급망(supply chain)”이란 단어는 1271회 언급됐다. 5년 전 같은 기간 대비 55%나 늘어, 이에 관한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졌음을 짐작케 한다.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이미 총 2500억달러 규모의 관세폭탄을 세 차례에 걸쳐 부과했다. 이제 미국은 남은 267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네번째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미국 기업들도 한층 광범위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인앤컴퍼니의 피터 과라리아는 “(관세 문제가) 계속 해결되지 않을 경우 내년 2분기엔 기업들이 세계 공급망을 재정비하고, (중국 외) 다른 지역에서의 원자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광범위한 대응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좌)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크리스 로저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디렉터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예상했다. 관세폭탄이 아예 없어지거나,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가 부과돼 오히려 갈등이 고조되거나 둘 중 하나라는 것이다. 이달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릴 G20 정상회담에서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간의 만남이 관전 포인트다. 

중국은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을 활용하는 많은 기업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시장이다. 당장 공정 환경이나 공급업체를 바꾸고, 지역을 이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몇 년 간 막대한 자금이 들어가는 과정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테네시대학 글로벌공급망협회 회장인 셰이 스콧은 “공급망은 본질적으로 매우 복잡한 체계인 반면 관세는 굉장히 무딘 수단이라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관세라는 그저 작은 요소가 일으키는 파장이 상당하며, 전체 경제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간 멀리 떨어진 해외시장에서 제품이나 원자재를 조달해온 기업들은 이제 그간의 거래 방식을 재고할 수 밖에 없게 됐다. 

2000년 전후로 글로벌 공급망이 폭발적으로 형성됐다. 가장 저렴한 제조 공정을 갖추는 데 기업들은 현안이 돼 있었다.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이전부터 이로 인한 문제가 제기됐고, 이제 양국 갈등은 기업들이 한층 공격적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도록 부추기고 있다. 

스콧 회장은 ”우리는 이미 과거 방식으로 회귀하고 있다. 하나의 글로벌 공급망 솔루션에서 발생하는 시간 문제나 복잡성, 리스크를 따지지 않을 수 있는 공급망 현지화 방식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여기에다 원유나 천연가스 국내 생산 비중이 늘면서 에너지 비용 절감으로 인한 생산비도 과거보다 줄일 수 있게 됐다. 발달된 기술 역시 국내 생산을 촉진하고 있다. 향후 “관세 부과 여부를 떠나” 공정 현지화가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로저스 디렉터는 내다봤다.

파웰 GEP 부사장은 공급망 현지화로 기업들은 품질 측면에 더 빨리 대응하고, 물류 수송비를 절감하고, 재고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공급망은 간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WK의 도널드 앨런 CFO(최고재무책임자)는 미중 관세전은 “(기업들이) 공급망 개편을 더욱 공격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도록 독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조 공정을 적극적으로 국지화하고 ‘파는 곳에서 곧 생산하는” 전략을 확대할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chojw@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