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글로벌

[심층분석] 내년 한·아세안 정상회의 유치..."비즈니스한류 획기적 진전 기대"

기사등록 : 2018-11-15 05:2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대 규모 다자정상회의 유치...신남방정책 상징성 커
사람·상생번영·평화 분야별 성과 극대화...동남아정책 강화
제1차 한·메콩정상회의도 관심...메콩지역 경제 교두보 확보

[싱가포르=뉴스핌] 채송무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제1회 한·메콩 정상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의 핵심 경제전략인 신남방정책을 획기적으로 진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따라 내년 연말께로 예상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내에서 개최되는 다자정상회의 중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신남방정책의 랜드마크적인 외교행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청와대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신남방정책의 핵심전략인 '3P(사람·상생번영·평화)'의 분야별 성과를 집대성하는 한편 정책 추진의 동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이 14일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싱가포르에서 진행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동남아 비즈니스한류 '화룡점정' 찍나

청와대는 아세안 10개국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특별정상회의를 3차례 개최한 것도 의미가 크다고 자평했다.

특별정상회의를 10년 마다 개최한다는 아세안의 자체 가이드라인을 감안할 경우 제3차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합의는 그 자체로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대한 아세안 측의 화답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한·아세안 대화 관계 수립 20주년 및 25주년 기념으로 지난 2009년 제주도, 2014년 부산에서 제1차 및 제2차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했다. 일본은 지난 2003년과 2013년 특별정상회의를 열었고, 중국은 2006년과 2016년에 아세안과 특별정상회의를 연 바 있다.

청와대는 연내 대통령 훈령 제정을 통해 강경화 외교부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준비위원회와 준비기획단 설립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관계부처·기관의 고위급 인사와 민간 위원으로 내년초 준비위원회를 가동,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갈 방침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넥스트 베트남을 찾아라"...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로 경제 교두보 구축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함께 합의된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역시 경제권역의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콩 지역 국가는 캄보디아와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태국 등이다. 특히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수출국으로 부상한 베트남 등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나라들이 적지 않다.

정부는 제1회 한·메콩 정상회의를 통해 한-메콩 간 인적교류, 인적자원 개발, 연계성 증진 등의 협력을 증진하겠다는 입장이다.

'넥스트 베트남'을 염두에 두고 높은 성장률과 풍부한 자원·노동력을 보유 중인 메콩 지역에 한국경제의 동남아 진출 교두보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메콩 지역은 중국과 일본이 경쟁적으로 공을 들이고 있는 지역이다.

정부는 현재 캄보디아, 미얀마 등을 주목하고 있다. 캄보디아, 미얀마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금으로 국내 중소기업이 다수 진출해 있는 국가다. 아세안에서도 잠재력이 매우 큰 미개척시장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한·메콩 기업 간 협력 증진을 위한 한·메콩 비즈니스포럼, 기업간 1대 1 매칭 확대 등을 통해 민관협력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메콩 관련 협력 비전을 마련하는 한편 각종 사업을 발굴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또 한·메콩 협력기금을 종전 112만달러에서 200만달러로 늘릴 방침이다. 1차 회의에서는 한·메콩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 방향을 논의하게 된다.

청와대 측은 공동선언 채택도 추진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청와대는 2020년께 한·메콩 협력기금을 200만달러에서 300만달러로 증액하고, 제3차 한·메콩 액션플랜도 채택할 계획이다. 

dedanh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