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KT아현국사(지사) 화재 여파로 5G 상용화를 앞둔 이동통신사들이 최초 경쟁보다 내실 강화로 선회하고 있다. 작은 오류가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는 5G 시대를 대비해 철저한 관리 및 보안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화재를 반면교사로 삼아 위급사태에 대비 가능하도록 신중하게 5G 전략을 수립하자는 분위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26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KT아현국사 화재현장 인근에서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8.11.26 leehs@newspim.com |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는 27일 “통신사들이 협력해 어려운 상황을 타개해 나가는 것이 우선이라는 판단으로 오는 28일로 예정된 ‘5G 전략 및 서비스 소개’ 간담회를 연기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선 26일 연기를 결정한 KT(회장 황창규), SK텔레콤(사장 박정호)을 포함해 이통3사 모두 5G 전략 설명회 및 상용화 준비 현황 공개 행사를 모두 취소했다. 성급한 간담회보다는 이번 아현화재로 불거진 설비관리 점검과 물리 및 시스템 보안을 강화해 5G에서는 확실한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5G 보안의 중요성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거론된 문제다. 수백만개에 달하는 디아비스가 연결되고 테라바이트(1024기가)급 빅데이터가 일상적으로 오고가는 5G 시대에서는 작은 오류가 자율주행차 사고나 기간망 다운 등 재앙급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현화재처럼 물리적인 사고 위험 뿐 아니라 시스템 보안에서 철저한 관리를 기울여야 한다. SK텔레콤이 그룹 계열사였던 시스템 보안 기업 인포섹을 자회사로 편입하고 7000억원을 투자해 국내 물리보안 2위 기업 ADT캡스를 인수한 것 역시 5G 시대를 염두에 둔 포석이다.
글로벌 보안 논란에 휩싸인 화웨이 장비를 5G 네크워크에 도입하는 LG유플러스에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 것 역시 같은 이유다. 그동안 수없이 강조해온 안전의 중요성이 아현화재를 계기로 다시 한번 도마위에 오른 모양새다.
특히 세계 최초 5G 상용화가 기업이 아닌 정부 주도의 국책과제처럼 진행된 부분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필요한 설비와 인프라, 투자 등은 모두 기업이 담당함에도 정부가 내년 3월이라는 시점을 못박고 기업들의 동참을 강제한 부분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업계 전문가는 “5G는 융합사업이기 때문에 누가 먼저 시작하느냐보다 누가 얼마나 탄탄한 연합전선을 구축해 시장을 선점하느냐가 중요하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경쟁자보다 뛰어난 기술력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게 우선순위”라고 지적했다. 속도 경쟁이 아닌 내실 강화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정부가 5G 주도권을 기업에게 맡기고 정책적인 지원을 담당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번 화재사태 역시 정부가 D등급으로 분류되는 설비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리감독에 소흘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방재시설을 의무적으로 갖추지 않아도 되는 전국 835개 D급 통신시설을 대상으로 일제점검을 준비하는 등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성공적인 5G를 위해서는 정부가 지금처럼 일정조율이나 전략 간섭이 아닌 세제지원 등의 투자유인 정책을 수립해야 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안정성 확보에 주력할 수 있는 환경과 여력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이통사 관계자는 “지금 시점에서 5G 행사를 강행하면 시설관리와 보안, 위기대응 등과 관련된 논란이 오히려 커질 수 있다”며 “충분한 준비가 끝난 후 관련 전략을 설명하는 것이 맞다는 게 내부 판단”이라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