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카슈끄지 사태가 예멘 휴전으로...정부-반군 호데이다 휴전 합의

기사등록 : 2018-12-14 19:0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평화협정 체결까지는 아직도 장애물 많아
카슈끄지 사태가 예멘 내전 개입한 사우디에 압력으로 작용

[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13일(현지시간) 예멘 남서부 항구도시 호데이다에서 휴전하기로 합의했다고 유엔이 발표했다. 세계 최악의 인도적 참사를 초래한 예멘 내전의 평화 해법을 위해 4년 만에 처음으로 가장 큰 첫 발을 내디딘 것이다.

스웨덴에서 예멘 평화협상을 중재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호데이다 전 지역에서 즉각 휴전이 발효됐다”고 말했고, 예멘 주재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 대사는 14일부터 휴전이 발효된다고 밝혔다.

양측은 예멘으로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인도주의적 구호 통로인 호데이다에서 병력을 철수하고 인근 지역에서 휴전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1만5000명의 포로 교환 ▲예멘 3위 도시 타이즈로의 인도주의적 지원 통로 허용 ▲내년 1월 재협상 등에 합의했다.

다만 ▲휴전 개시 뒤 호데이다에서 양측 병력 재배치 ▲유엔의 주도적 역할 등 합의 내용은 모호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 또한 유엔이 휴전 개시 후 21일 이내에 호데이다로부터 모든 병력 철수를 감독한다고 합의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내용도 없었다.

유엔은 양측이 평화 계획에 서명하게 하려고 노력했으나 이 부분도 실패로 돌아갔고, 예멘 수도인 사나의 국제공항 운영 재개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13일(현지시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가운데)의 중재로 개최된 예멘 평화협상에서 휴전 합의가 도출된 후 기자회견에서 칼레드 알야마니 예멘 외무장관(왼쪽에서 두번째)과 무함마드 압델살람 후티 반군 협상대표(오른쪽)가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과거 예멘 내전을 종식시키려는 수많은 합의도 이내 무산된 경우가 많은 만큼, 전문가들은 이번 휴전 합의를 지켜내기 위해 결연한 국제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국제위기그룹(ICG)의 예멘 전문가인 피터 샐리스베리는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나서서 이번 휴전합의를 결의문으로 통과시켜야 한다. 국제사회가 반드시 행동에 나서야 할 때이며, 평화를 향한 연약한 첫 걸음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우디 주도 연합군과 후티 반군 모두 이번 휴전 합의가 전면적인 평화협정이 아니며, 순전히 선의에서 인도주의적 참사를 막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샐리스베리는 양측 모두 이번 합의를 분쟁의 종식이 시작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휴전 합의는 예멘 내전의 국면을 완전히 바꿀 수 있는 기회라는 평가다.

지난 한 달 간 아랍에미리트(UAE)가 주도해 연합군이 호데이다를 맹공격해 사실상 도시 전체를 봉쇄해, 후티 반군은 단 하나의 도주로만을 남겨 놓고 있었다. 하지만 휴전 합의가 이뤄지면서 연합군은 힘들게 탈환한 호데이다를 그대로 내줘야 하는 셈이 됐다.

예멘 내전으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재앙으로 확대되자 시급히 내전을 종식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커졌다. 구호단체들은 내전으로 인해 예멘 어린이 수만 명이 이미 아사했고, 전쟁이 즉각 끝나지 않으면 1200만명이 굶어죽을 위기에 놓여 있다고 전했다. 유니세프에 따르면, 예멘에서 예방 가능한 질병으로 10분마다 어린이가 한 명씩 사망한다.

이번 휴전 합의가 전격 성사된 데에는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태로 인해 사우디와 사우디를 지원하는 미국 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이 높아진 것이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미 상원은 13일 예멘 내전에 개입하는 사우디에 대한 미국의 군사 지원을 중단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예멘 내전은 2011년 반정부 시위인 ‘아랍의 봄’이 끝난 이후 후티 반군이 권력을 잡으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이후 내전은 예멘 정부를 지원하는 사우디와 UAE, 후티 반군을 지원하는 이란 간의 대리전으로 변질됐다.

 

예멘 사나에 위치한 영양실조 치료 센터에서 한 간호사가 태어난 지 2개월 된 주드 모타헤르의 손을 잡고 있다. 주드는 이틀 후 영양실조로 사망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g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