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세종청사에서] 산업정책 암흑기 걷어낸 성윤모 리더십

기사등록 : 2018-12-30 11:1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취임 100일 성윤모 장관, '선한' 동네형' 리더십 평가
자동차·조선 등 주력 산업정책 행보도 거침없어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29일로 취임 100일을 맞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다. 백운규 전 장관 때와는 확인히 다른 리더십으로 산업정책을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행시 32회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한 성 장관은 상공부(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첫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산업부에서 전력산업팀장·산업정책팀장 등을 역임 후 기재부에서 중견기업정책관, 중기청에서 중견기업정책국장·경영판로국장 등을 거쳤다. 이후 2014년 7월 산업부로 복귀해 정책기획관, 대변인 등을 역임했다.

이후 행보도 거침이 없었다. 2016년 3월부터 1년 반동안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을, 2017년 7월부턴 제 25대 특허청장에 취임했다. 또 다시 1년이 흐르고 마침내 올해 9월 산업부의 수장인 산업부 장관 자리에 올랐다. 불과 30년만에 공직자로써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자리에 오른 것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8일 세종정부청사 산업부 기자실에 내년도 대통령 업무보고 현장스케치 및 주요 토론내용 등을 발표하고 있다. 2018.12.18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장관을 한 마디로 표현 하자면 '선한 리더십', '동네형 리더십' 등으로 부를 수 있다. 직원들을 동생처럼 잘 다독이면서도 정책 추진에 있어서는 거침이 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전 장관인 백운규 전 장관이 직원들의 결제서류에 쉽사리 결정을 내리지 못했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산업부 내 한 고위공무원은 "백운규 장관 당시에는 결제서류를 들고 들어가기가 망설여졌던 적이 자주 있었다"며 "결제 서류에 쉽게 사인을 하지 못하고 반려하는 경우가 적잖게 발생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또 다른 고위공무원도 "백 장관 당시엔 직원들을 이끄는 리더십에서 부족한 부분을 느꼈다"며 "성윤모 장관 취임 이후엔 일도 수월하게 돌아가고 산업부 전체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도 그럴것이 문재인 정부의 초대 산업부 장관인 백 장관은 정부의 탈원전 프레임에 갖혀 모든 산업정책에서 속도를 내지 못했다. 어딜가나 백 장관을 향해 쏟아지는 질문은 "탈원전은 시기상조 아니냐?" "탈원전이 전기료 상승요인이 되지 않냐" "탈원전 추진하면서 원전 수출을 신산업으로 가져가는게 맞느냐" 등 탈원전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

이 때문에 약 1년 2개월 동안의 취임 기간 동안 눈에 띄는 산업정책이나 현 정부 정책 키워드인 '혁신' 관련 정책들은 찾아볼 수 없었다.

하지만 성 장관 취임 후 산업부 내 기류가 완전히 바꼈다. 우선 산업부 직원들의 표정이 한결 좋아졌다는 전언이다. 아무래도 산업부에서 오랬동안 근무한 성 장관이 직원들과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해볼 수 있다.

한 산업부 관계자는 "업무는 더 많아졌지만 이전 장관 때보다 즐겁게 일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정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성 장관은 취임 초기 11월~12월에 걸쳐 자동차, 조선 등을 포함한 제조업 활력제고 대책, 유턴기업 지원제도 개편방안 등을 내놓겠다고 약속했다. 그리고 약속한 시기에 유턴기업 지원제도 개편방안을 시작으로 조선업 활력제고 방안,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 그리고 제조업 혁신 방안 등을 잇달아 발표했다.

자동차, 조선 등 국내 산업을 이끄는 원동력인 제조업이 심각한 불황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대책을 발표한다는 자체가 부담으로 다가왔을 법도 한데, 무난히 잘 마무리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제 예고된 산업정책 중에는 내년 1월 '중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를 통해 미래 신산업에 대한 대안을 세우는 일만 남았다.

더욱이 올해 대통령 정부보고에서 산업부와 성 장관은 나름의 합격점을 받았다. 문 대통령은 "산업정책에 있어 뼈아픈 자성이 필요하다"면서도 "산업정책의 사령탑은 산자부 장관이다. 오늘의 이 계획대로 된다면 제조 산업의 혁신과 더불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까지 잘 해내리라 확신이 든다"고 성 장관을 추켜세웠다.

이제 성 장관의 리더십이 또 한 번 빛을 발휘할 때다. 개인의 명예와 명분을 얻기 보단 실리를 중시하며 국내 산업의 부흥을 위해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선 주력산업혁신과 신산업 전략적 육성, 미래산업 투자 확대라는 3박자를 조화롭게 어우르는 '포용'과 '결단'의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이다.   

js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