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금관가야 중심권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가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삼기)에서 2015년부터 발굴조사 중인 금관가야 추정왕궁지인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가 출토됐다고 9일 밝혔다.
집모양토기 [사진=문화재청] |
집모양토기는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의 건물지 주변에서 발견됐다. 이 토기는 평면 반원형의 벽체를 가진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정면에는 네모꼴의 출입구가 설치돼 있다. 출입구는 여닫이문이 열린 형태로 출입구 아래에는 받침대가 놓여 있으며 벽체의 한쪽 면에는 원형의 봉창(환기창)을 설치했다. 지붕 모양은 앞부분과 뒷부분이 다른데 앞은 박공(맞배지붕의 측면에 삿갓형으로 붙인 건축 부재)을 가진 맞배지붕(책을 엎어놓은 형태)이고 뒤로 갈수록 경사져 내려가며 둥근 형태를 이룬다.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진 삼국시대 집모양토기 대부분은 고상식(高床式,기둥 위에 집을 만듦)의 맞배지붕 구조다. 반면 이번에 김해 봉황동 유적에서 출토된 집모양토기는 벽체를 가진 지면식 구조이며 지붕모양도 앞부분은 삿갓형, 뒷부분은 원형인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처음 확인된 사례로 가야의 생활사와 건축사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해 봉황동유적 출토 말발걸이(보존처리 진행 중) [사진=문화재청] |
김해 봉황동 유적의 소성 유구(불을 사용한 흔적이 남아 있는 시설) 주변에서는 철로 만든 말발걸이가 출토됐다. 이 유물은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의 CR(Computed Radiography, X-ray 필름 방사선 사진을 디지털 방식으로 대체한 것) 장비로 촬영한 결과, 말발걸이 고리부분에서 접합부가 발견됐다.
일반적으로 삼국 시대 말발걸이는 발을 거는 고리부분에 접합부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출토된 말발걸이는 고리를 둥근 형태로 연결하고 연결부분에 각각 구멍을 뚫어 철심을 박는 '리벳(rivet) 접합'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역시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말발걸이 제작방식으로 마구 제작기술과 제작 방식 변천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5년부터 김해 봉황동 유적 추정왕궁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금관가야 중심권역의 경관을 복원하고, 사회, 경제 전반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축적하고 있다.
연구소 관계자는 "이러한 자료의 공유와 심화 연구를 통해 가야사를 복원하고,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는 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