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승동 기자 = 이번 주(14~18일) 금융권의 초점은 우리은행이 우리금융지주로 재출범한데 따른 영향 확대다. 전열을 정비한 우리금융은 조만간 다시 몸집을 키울 전망이다. 우선 매물로 나온 롯데카드·손보에 우리금융이 어떤 태도를 취할지 주목된다.
지난 11일 우리금융지주는 법인설립등기를 마무리했고 오는 14일에는 지주사 공식 출범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2014년 11월 민영화를 위해 지주사를 해체한 후 약 4년만에 지주사로 복귀하는 것.
손태승 우리은행장 내정자가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학선 기자 yooksa@ |
이 과정에서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우리아비바생명(현 DGB생명보험) 등 알짜 비은행 부문 계열사를 매각했다. 하지만 덩치는 줄지 않았다. 2018년 3분기 자산규모는 330조원으로 2013년말 341조원으로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같은 시기 당기순이익은 –7134억원 적자에서 1조9208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군살을 빼고 체력을 키운 셈이다.
우리금융의 자산 비중은 97% 이상이 은행이다. 이에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우리은행장 겸직)도 M&A를 통한 자산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 롯데금융계열사...그림의 떡 될까
은행법상 은행은 자기자본의 최대 20%만 출자할 수 있다. 반면 지주사는 130%까지 출자 한도가 확대된다. 이에 우리금융지주는 7조원 이상의 출자 여력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자금력을 바탕으로 시장에 나온 매물들을 한꺼번에 집어삼킬 수 있다는 것.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현재 매물로 나와 있는 롯데그룹의 금융계열사인 롯데카드·손보·캐피탈이다.
롯데카드의 시장점유율은 약 9%로 우리카드(7%)와 비슷한 수준이다. 우리금융지주가 롯데카드를 인수하면 신한(18%)·삼성(16%)카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 된다. 점유율 13% 내외의 국민·현대카드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특히 롯데카드는 은행계인 우리카드와 고객군이 크게 겹치지 않는다. 롯데카드가 주로 롯데유통계열사 이용 실적이 높기 때문. 이에 우리카드와 합병하면 시장점유율을 단숨에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롯데손보도 우리금융이 군침을 흘리는 매물이다. 좀처럼 나오지 않는 손해보험 매물인데다 6조원이 넘는 롯데그룹의 퇴직연금자산도 운용할 수 있기 때문. 롯데캐피탈도 매력적이다. 자동차 할부금융과 저금리 기조 속에서 증가한 가계대출 수요 등으로 지속성장했다.
매각가는 롯데카드(1조5000억원)·손보(5000억원)·캐피탈(1조5000억원) 약 3조5000억원이 거론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2조원 초반에 성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정부의 수수료인하 정책으로 카드사의 수익성 우려를 선방영하기 때문. 또 새보험국제회계기준(IFRS17)으로 인해 보험사의 부채가 커지는 영향 탓이다. 여기에 캐피탈은 금리인상에 가계대출이 줄고 연체율이 높아져 수익성 고점이 지났다는 평가다.
이에 우리금융이 2조원 초반대에 롯데금융계열사를 통인수하는 방법이 거론된다. 이 같은 방법은 금융계열사를 매각해야 하는 롯데그룹 입장에서도 가장 편한 방법이다. 따라서 가격이 낮아도 딜이 성사될 수 있는 것.
다만 문제는 신설지주사는 자본비율 계산 시 ‘내부등급법’이 아닌 ‘표준등급법’을 적용한다는 점이다. 이에 올해까지는 롯데그룹 금융계열사를 통인수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은행 한 관계자는 “은행의 수익원이 비슷한 상황에서 지주의 차별성을 찾는 것은 비은행 계열 금융사의 수익성”이라며 “우리지주는 당장 매물을 탐색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금융 입장에서는 롯데그룹 금융계열사를 2조원 내외에서 패키지로 인수하는 게 가장 쉽게 규모를 키우는 방법”이라면서도 “올해 지주사로 전환됐기에 출자 여력이 충분치 않아 롯데그룹 금융계열사는 그림의 떡이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0I0870948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