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여성 미술가가 여성문제를 바라볼 때…페미니즘은 다양한 빛을 낸다

기사등록 : 2019-01-30 17:5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대미술관, '여성의 일: Matters of Women' 내달 24일까지 전시회
사회의 감각,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전시 필요
윤석남 "페미니스트 운동 계속해서 일어나야"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여성 작가들이 사회에서 벌어지는 성 불평등 문제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여성 작가의 시선에 머문 국내 성 불평등 문제의 스펙트럼은 넓다.

지난해 12월27일 서울대미술관에서 개막한 ‘여성의 일: Matters of Women’ 전시회는 11인의 여성 작가가 직접 경험하고 느낀 성불평등 문제를 회화적으로 해석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여성 작가의 눈으로 꿰뚫어본 사회 속 성불평등 문제를 미학적으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페미니즘을 바라보는 해석의 폭이 한층 다양해졌다. 

점을 찍어 20대 비정규직 여성의 노동행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작품. 박자현, 일상인, 2011, 종이에 펜, 162x120cm [사진=서울대미술관]

여성의 문제를 여성의 시각에서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전시를 기획한 서울대미술관 관계자는 "여성과 관련한 주제전 개최뿐만 아니라 여성이 목소리를 낼 기회가 많지 않다. 그래서 여성 작가들에게 발언권을 주면 어떨까하는 기획에서 전시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이 전시에 참여한 한 작가는 “페미니즘 주제의 전시는 협소하게 다루는 경향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 작가는 “페미니즘 관련 작업이 미술관에서 이뤄지는 경우는 드물다. 최근 ‘페미니즘’이 이슈화되기 전까지는 극소수였다”고 말했다. 다양성의 가치에 무게를 두는 미술계마저도 페미니즘의 장벽은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노승복, 1366 프로젝트, 2003, 아카이브 피그먼트 프린트_100x200cm [사진=서울대미술관]

고등어 작가는 자신이 공감할 수 없는 ‘남성의 욕망’을 관찰하고 이를 타자화해 냉소적이지만 연민을 가지고 바라보는 여성의 시각을 부각시킨다. 출품작 ‘엷은 밤’ 시리즈는 남성의 신체가 서서히 ‘신체성’을 잃어버린 과정을 그린 드로잉 연작이다. 작품에서 자신의 형상과 닮은 석상을 메고 다니는 남자는 자신의 욕망과 환상을 마주하며 서서히 소멸해간다. 신체가 소멸해가면서 석고상도 함께 마모되어 간다. 이는 대상 없는 욕망 그 자체를 동력 삼는 남성의 모습이다. 여성의 시각에서 남성적 욕망의 허무함과 실현불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노승복 작가는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멍 이미지를 확대한 작품 ‘1366프로젝트’를 선보였다. 분홍색, 노란색, 보라색 등 따뜻한 색감으로 가득찬 추상적 풍경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를 가까이서 보면 매 맞아 멍든 여성의 신체 이미지를 확대해 제작한 것이다. 제목의 ‘1366’은 ‘여성폭력 긴급 전화번호’다. 따뜻한 색감으로 여성에 대한 폭력의 잔인함을 보여준다.

고등어, 엷은 밤, 2018, 종이에 연필, 51x31.5cm [사진=서울대미술관]

작가 장파는 ‘여성기’를 그렸다. 남성의 성적 욕망의 대상이 되는 여성의 이미지를 벗어난 형체다. 장파의 여성기는 남성의 욕망의 대상이자 동시에 여성의 욕망의 주요기관이다. 미뢰(혀와 연구개에 주로 분포하며 맛을 느끼는 감각 세포가 몰려있는 세포)를 연상시키는 작은 돌기들은 이 기관이 남성적 욕망의 대상일 뿐 아니라 여성 스스로 다양한 욕망을 구체화하고 실현하는 기관임을 역설한다. 유기체에 돋아난 ‘눈’은 욕망을 채우기 위한 기관으로서만이 아닌 그 욕망을 직시하고 판단하는 지각의 바탕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사실 한국 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여성주의 운동은 화두로 떠올랐다. 국내에는 2010년부터 급속도로 페미니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됐다.

한국의 1세대 페미니즘 작가인 윤석남은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페미니스트 운동에 대해 뉴스핌과의 인터뷰에서 “당연히 일어나야 한다. 세게 일어나야 한다. 어떤 변화가 온 다음에 평등을 찾는 거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좀 더 과격하게 해도 참아줘야 하지 않나 싶다. 나는 과격하게 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한 명”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제 시대에 좋은 그림을 그렸지만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여성 작가가 많다. 그런게 세상에 알려지지도 않는다. 이런게 속상하다. 약오른다. 그래서 나는 명이 허락하는 한 끝까지 한다는 욕심이 있다”며 “후배들에게 늘 이야기한다. 몸 관리 잘하라고. 그림은 머리로 하는 게 아니라 몸으로 하는 거다. 그래서 나도 열심히 관리하고 있고 오래토록 작품활동을 할 거다”고 첨언했다. 

장파, Drawing for Brutal Skins 시리즈, 2018, 종이에 펜과 수채 [사진=서울대미술관]

여성 문제와 관련해 미술 작가들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한 작가는 “미술은 감정과 감각을 다루는 파트다. 작가는 사회의 감각을 최대로 끌어올려야 한다. 감각적으로 사회를 바꿀 것이냐 고민하는 사람이 작가다. 지금의 사회분위기에 맞는 새로운 감각들, 그런 것들에 대해 사실 좀 더 많은 고민을 하는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또 다른 현대미술 작가는 “감각을 더 극대화하는 게 예술이라 생각한다. 감각을 다루는 전시가 있어야 한다. 일종의 조형 언어로 더 많은 여성이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그런 감각들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있는 기회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언급했다.

89hkle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