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사이클 ‘브레이크’와 이에 따른 미 국채 수익률 하락에도 달러화가 상승 탄력을 받고 있어 주목된다.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투기 거래자들의 상승 베팅이 대폭 늘어난 가운데 달러/엔 환율이 지난해 말 이후 처음으로 110엔 선을 뚫고 오르는 등 주요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강세 흐름이 두드러진다.
달러화 [사진=블룸버그] |
미국 경제의 상대적인 저항력과 중국의 유동성 공급에 따른 달러화 수요 증가, 여기에 1월 고용 지표 호조가 달러화에 상승 동력을 제공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월가의 일부 투자은행(IB)은 급격한 반전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올 연말 달러/엔 환율이 102엔선까지 밀리는 한편 유로/달러가 1.31달러까지 뛸 것이라는 전망이다.
4일(현지시각)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엔 환율이 110엔 선을 상회, 장중 한 때 110.12엔까지 올랐다. 달러/엔이 110엔 선을 넘은 것은 지난해 12월28일 이후 처음이다.
달러화는 유로화와 파운드화에 대해서도 0.3% 내외로 상승했고, 6개 바스켓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 역시 0.3% 가량 오르며 95.85에 거래됐다.
연준의 정책 기조 반전에 약세 흐름을 보였던 달러화가 모멘텀을 회복, 월가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이날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투기 거래자들의 달러화 상승 베팅이 2015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토론토 소재 캠브리지 글로벌 페이먼트의 칼 샤모타 전략가는 CNBC와 인터뷰에서 “달러화 반전이 뚜렷하다”며 “연준의 비둘기파 기조에 국채 수익률 전망이 후퇴했지만 미국의 상대적인 경제 펀더멘털 호조가 탄력을 제공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지난주 미 노동부가 발표한 1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정부 셧다운 사태에도 30만4000건에 달했고, 기업 4분기 실적 역시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반면 독일을 필두로 한 유럽 경제 지표 둔화가 유로화에 하락 압박을 가하고 있고, 이는 상대적으로 달러화를 밀어올리는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연준이 긴축 사이클을 중단했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면서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입질’이 재개된 상황은 엔화에 대한 달러화 강세의 배경으로 꼽힌다.
하지만 달러화가 정점을 찍고 하락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모간 스탠리는 투자 보고서를 내고 “미국 자산에 대한 헤지 비용이 역대 최고치로 뛰었고, 이 때문에 해외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을 팔아치우면서 달러화 강세 흐름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간 스탠리는 연말 달러/엔 환율과 유로/달러 환율을 각각 102엔과 1.31달러로 제시했다. 달러화가 올해 말까지 엔화와 유로화에 대해 각각 7%와 15% 내외로 급락할 것이라는 얘기다.
노무라 역시 해외 투자자들의 달러화 자산 매도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해외 투자자들의 달러 자산 매입이 미국 투자자의 해외 자산 매입보다 기우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수급 불균형에 따른 달러화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이 밖에 블룸버그는 미국 경제 지표의 둔화와 연준의 금리인상 중단에 따른 국채 수익률 후퇴가 궁극적으로 달러화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