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산업

文정부 첫해 공공부문 일자리 4만6000개 늘었다

기사등록 : 2019-02-19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통계청, 2017년 일자리 통계 발표
전년대비 1.9% 증가한 241만1000개
전체 취업자 대비 9% 차지…0.1%p↑
행정·교육·국방·사회복지 일자리 '쑥'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 문재인정부 첫해인 2017년에 공공부문 일자리가 4만6000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증가폭이 전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는데,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정부 일자리 206만개…전년대비 5만1000개 늘어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정부와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부문 일자리는 총 241만1000개로 전년대비 4만6000개(1.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2만9000개)보다 증가폭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그림 참고).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공공부문의 비중은 9.0%로, 전년(8.9%)보다 0.1%p 높아졌다. 일반정부의 비중이 7.7%를 차지했고, 공기업 비중은 1.3% 규모다.

공공부문 중 일반정부 일자리는 206만3000개로, 전년대비 5만1000개(2.5%) 늘었다. 공기업 일자리는 34만8000개로, 전년대비 5000개(1.4%) 감소했다. 공기업이었던 근로복지공단이 일반정부에 속하는 '사회보장기금'으로 재분류된 게 큰 영향을 미쳤다.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자료=통계청]

일자리 형태로 보면, 공공부문 일자리 중 2016년과 2017년에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86.0%(207만5000개)로 집계됐다. 이직·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됐거나 일자리가 새로 생겨 신규 채용된 일자리는 14.0% (33만6000개)로 나타났다. 민간부문의 지속일자리 비중이 63.2%인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 일자리는 55.0%로 여자의 1.22배 수준이다. 남성 일자리는 전년보다 1만1000개, 여성 일자리는 3만4000개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29.5%로 가장 많았고, 60세 미만이 점유한 일자리는 전년보다 늘었고 60세 이상은 줄었다. 근속기간은 3년 미만이 31.3%로 가장 많았고, 20년 이상은 23.5%를 차지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2017년에는 정부 출범 이후 '일자리로드맵'이 만들어진 후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정책이 정원에 반영됐다"면서 "채용까지 다소 시차가 있었겠지만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행정·교육·국방·사회복지 일자리 크게 늘어

공공부문 신규 일자리는 행정과 교육, 국방, 사회복지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는 문재인 정부 하에서 지속될 전망이다.

공공부문 일자리를 산업별로 분류하면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 분야 일자리가 120만7000개로서 전체의 50%를 차지했고, 교육 서비스업이 69만8000개로 28.8%를 차지했다. 두 분야를 합하면 전체의 78.9%에 이른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일자리도 7만7000개로서 4000개(5.5%) 늘었다.

정부기관 일자리는 186만7000개로 전년보다 2만5000개(1.4%) 늘었다. 공무원이 68.7%(128만3000개)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보다 6000개 증가했다. 비공무원은 31.3%(58만4000개)를 차지했으며 전년보다 1만9000개 증가했다.

2017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자료=통계청]

성별로 보면 정부기관의 공무원은 남자가 60.2%, 여자가 39.8%인 반면, 비공무원은 남자가 35.3%, 여자가 64.7%이며, 모두 40대가 가장 많았다. 근속기간은 정부기관의 공무원 중 63.0%가 10년 이상 근무한 반면, 비공무원의 65.3%는 근속기간 3년 미만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그래프 참고).

박진우 과장은 "일반정부 신규일자리를 기능별로 보면, 공공행정과 교육, 국방 등의 분야에서 많았다"면서 "남자 공무원 감소한 것은 이직이나 퇴직자 등 자연감소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drea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