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문대통령 '신남방 순방 종착지' 캄보디아, 경제협력 방안은?

기사등록 : 2019-03-14 05:3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한-메콩 정상회담 앞서 무역·투자 교류 늘려야
수출·투자 다변화 위해 한-캄보디아 협력 필요

[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아세안 3국을 순방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마지막 순서로 캄보디아를 방문할 예정이다. 캄보디아는 신남방지역의 '신흥 강자'로, 최근 관세혜택과 저렴한 인건비 등의 장점으로 매력적인 투자처로 급부상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순방에 나섰다. [사진=청와대]

13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발표한 '캄보디아 경제 특징과 한·캄보디아 경제협력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최근 20여년간 연평균 7.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과는 섬유·봉제업을 중심으로 교역이 확대되고 있다.

◆ 2000년대 국내 섬유기업 진출 본격화…한국 ODA 규모도 베트남에 이어 2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캄보디아의 교역은 2000년대 한국 섬유·봉제기업들의 캄보디아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입 추이(1998~2018년) [자료=무역협회]            (단위=백만 달러)

2018년 기준으로 한-캄보디아 교역규모는 9만7490만달러로 집계됐으며, 이 중 수출이 6억6040만달러, 수입이 3억1450만달러를 차지한다. 한-베트남 교역규모(682억6550만달러)에 비하면 1/70 수준이지만 수출이 9.4%, 수입이 20.3% 증가하며 교역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대(對)캄보디아 투자는 활발하다. 우선 2000~2017년 기간 한국이 개발도상국에 공여한 공적개발원조(ODA)를 기준으로 캄보디아(6억4580만달러)는 전체 수원국가 중 베트남(17억984만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2018년까지 한국이 캄보디아에 투자한 금액(FDI)은 26억7790만달러로, 특히 2014년 이후 투자금액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은 특히 금융·보험업과 제조업 분야에서 캄보디아에 활발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보고서는 최근 급격한 최저임금 상승으로 캄보디아의 제조업 약화가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올해 캄보디아의 최저임금은 월평균 182달러(원화 20만6300원)로 작년에 비해 7.1% 증가했다.

한국의 최저임금(174만원) 보다는 낮지만 인근국가인 베트남(180달러) 보다는 높아 투자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외연은 "노동생산성 증가를 수반하지 않는 최저임금의 급등은 캄보디아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섬유·의류 및 제화분야의 경쟁력을 악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수출시장 다변화 위해 한-캄보디아 협력 필요…한-메콩 교류확대 유도할 것

아직까지 캄보디아는 한국에게 매력적인 수출시장은 아니다. 베트남과 비교해 교역규모도 작고 인건비도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고서는 △급성장하고 있는 금융자본시장 △한국의 수출다변화 필요성 △메콩강 유역(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태국)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캄보디아와의 경제협력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한국의 대캄보디아 경제협력 현황과 주변국과의 비교 [자료=무역협회]     (단위=백만 달러)

특히 보고서는 일본과 중국도 메콩강 경제권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메콩강 유역에는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 등 동남아 6개국이 모여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다. 메콩강 권역의 인구는 3억4천만, GDP는 1조3000억달러에 이른다.

 

일본은 2000년대 중반부터 일-메콩 정상회담 정례화를 통해 경제협력을 진행해오고 있으며, 중국도 2015년 설립된 란창-메콩 협력(LMC) 메커니즘을 통해 포괄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올해 하반기 '한-메콩 정상회담'을 개최해 인프라·무역·투자·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상회담에 앞서 캄보디아와 중장기적 차원의 협력프로그램을 조기에 수립할 경우 정상회담의 내실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밖에 캄보디아와의 경제협력을 확대할 경우 신남방지역 내 베트남으로 집중되고 있는 투자(2018년 대아세안 투자의 52.6%)를 분산하고 수출도 다변화하는 장점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대외연은 "투자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캄보디아를 적극 활용하는 '베트남+1' 전략을 수립·시행하는 것을 고려하고 한국정부는 이를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onjunge0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