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구상-추상 경계 허문 토마스 샤이비츠, 국내 첫 개인전 '더블 스타'

기사등록 : 2019-03-20 15:4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학고재청담서 오는 5월 5일까지
"예술, 나만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회화의 전통적 구분을 지양, 자신의 언어로 예술화해온 작가 토마스 샤이비츠(51)의 작품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소개된다.

Thomas Scheibitz_파스빈더의 초상, Portrait Fassbinder_2019_캔버스에 유채, 비닐, 피그먼트 마커 Oil, vinyl, pigment marker on canvas_ 150 x 190cm [사진=학고재청담]

학고재청담은 오는 21일부터 5월 5일까지 토마스 샤이비츠 개인전 '더블 스타'를 진행한다. 토마스 샤이비츠는 동시대 대표 회화작가이자 조각가로, 이번 전시를 위해 근작 중 평면 및 입체 작업 13점을 소개한다.

1968년 독일 라데베르크에서 태어난 작가는 독일 드레스덴 조형예술대학에서 순수미술로 석사학위를 받고 쿤스트아카데미 뒤셀도르프에서 회화 및 조소과 교수를 역임했다. 2005년 제51회 베니스비엔날레에서 티노 세갈과 함께 독일관 대표 작가로 참여한 뒤 국제 무대에서 주목받아왔다. 테이트 모던,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카네기 미술관과 퐁피두 센터 등이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오는 9월 중 독일에서 피카소와 토카스 샤이비츠의 2인전도 열릴 예정이다. 

20일 학고재청담을 찾은 토마스는 자신의 작품에 대해 "제가 찾은 이미지를 저만의 언어로 번역해 작업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제 작품은 이미지 혹은 아이디어의 번역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현존하는 세계와 그림이 평행 관계에 있다. 그러니까 보는 이들은 자신의 지식과 본능을 따라 관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토마스 샤이비츠 2019.03.20 89hklee@newspim.com

작품의 제목을 보고 그 작품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게 작가 설명이다. 실제로 제목에는 그림에 대한 두 서너개의 뜻이 있다고 했다. 예컨대 전시장에 설치된 '캐피탈Ⅵ'는 상징적 문제로서의 자본과 소유, 재산 등에 대한 강한 집착을 나타낸다.

토마스는 "캐피탈(Capital)을 C로 쓰면 '돈'을 뜻하지만 K로 쓰면 'Kapital' 사회주의, 중요한 등이다. 이렇듯 언어의 중의적 표현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작품 '캐피탈'에 대해 그는 "현대사회는 물건을 살 때 돈을 지불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모든 것에 가치가 매겨진다는 것에 흥미를 느껴 작업했다"고 설명했다.

작가는 동독에서 태어나 20세까지 살았다.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모두 경험한 셈인데, 이런 자신의 경험이 작품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대신 토마스 샤이비츠는 추상과 구상 간의 경계를 흐린 뒤 그 구분을 없애는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 그러니까 토마스의 작품은 추상처럼 보이면서도 형상을 포함하는 구상을 모두 갖췄다. 자신만의 작업 언어로 재조립하는 방식이야말로 작가로서 완전히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는 경지에 도달할 방법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현재 독일에서 대학교수를 역임하는 그는 학생들에게 "작품은 자기 이야기를 담는 것이며,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Thomas Scheibitz_캐피탈 VI, Kapital VI, Capital VI_2019_ 합판, 판지 마운팅, 비닐, 아크릴릭 MDF, cardboard mounted, vinyl and acryl_247 x 11.5cm [사진=학고재청담]

토마스는 추상과 형상 간의 전통적 구분이 동시대 미술에서 더이상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그는 이러한 구분 짓기는 1920년대에 유효했을지 모르지만 오늘날에는 상투적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는 평면과 입체를 모두 포함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이를 '입체 회화'로 부를 수 있다. 작가는 "유럽에서는 조각과 회화를 구분했고 조각을 회화보다 더 쳐줬다. 또 조각에 색을 칠하는 것은 모던시대 전에는 금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백년, 수천년 전 조각을 보면 하얀 대리석이다. 조각에 페인팅했다는 기록은 50년전이라고 나왔다. 그러니 조각에 색을 칠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뒤집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Thomas Scheibitz_ 돌비 극장, Theatro Dolby, Theater Dolby_2017_합판, 목재, 마운팅, 유채, 비닐, 라커 페인트 MDF, wood, mounted, oil paint, vinyl, lacquer paint_60 x 70 x 55cm [사진=학고재청담]

작가의 조각은 평면 작업과 같이 입체 작업에도 뚜렷한 아우트라인을 그리고 면을 분할한다. 이번에 전시된 입체 작품은 속이 비어 있는 조립 작업이다. 이 때문에 그의 조각은 입체적인 회화 작품, 혹은 회화의 옷을 입은 조각처럼 보인다. 작가는 "나의 회화란 조각보다 깊은 공간감을 보여 주는 조각의 평평한 형태"라고 말했다.

학고재 관계자는 "토마스 샤이비츠의 작업은 갈수록 매체가 다양해져 가는 동시대 미술 속에서 가장 전통적인 형식인 회화와 조각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고 평가했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