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류마티스학회 "'인보사' 개발 단계마다 검증했어야…허가 과정 조급"

기사등록 : 2019-04-16 21:1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대한류마티스학회, 16일 토론회 개최
"인보사 투여 환자 안전성 장기 모니터링 해야"
"부처·학계·환자 참여 공개적인 기구 만들어야"

[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코오롱생명과학의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한국명 인보사케이주)의 개발과 허가가 조급하게 이뤄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류마티스학회는 16일 저녁 7시 서울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에서 '골관절염 세포치료제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향'이라는 주제의 토론회를 열었다. 학회 임원진들은 인보사 개발 관련 기초 및 임상 연구를 검토하고, 골관절염 세포치료제 연구의 개선 방향 등을 제안했다.

대한류마티스학회는 16일 서울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에서 '골관절염 세포치료제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향' 토론회를 개최했다.[사진=김근희 뉴스핌 기자]

인보사는 지난달 31일 주성분 중 하나가 허가 당시 기재된 세포와 다른 세포임이 드러나 판매가 중지된 상태다.

인보사의 주성분은 동종유래 연골세포와 세포 증진을 돕는 '티지에프-베타1'(TGF-β1) 유전자가 삽입된 형질전환세포(TC)로 구성돼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품목허가를 받을 당시 TC가 연골에서 유래된 연골유래세포라고 기재했으나, 최근 조사 결과 이 세포는 신장유래세포(293유래세포)인 것으로 드러났다.

코오롱생명과학 측은 TC가 처음부터 293유래세포였으며, 단지 이름표를 잘못 붙인 것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식약처는 코오롱생명과학이 인보사 허가 신청 당시 제출했던 서류 일체를 재검토한 결과 제출한 자료는 TC가 연골세포임을 보여주고 있다며, 세포가 신장세포로 바뀐 경위를 집중 조사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이날 인보사의 기초 연구를 검토한 이상일 동아의대 교수(대한류마티스 기초연구이사)는 코오롱생명과학이 인보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293세포에서 티지에프-베타1을 분리·정제해 연골세포에 넣는데 이 과정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293세포는 성장 속도가 연골세포보다 빠르기 때문에 섞일 경우, 연골세포가 293세포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며 "매 단계마다 세포 상태를 확인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핵형분석만 하면 어떤 세포인지 간단하게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세포가 바뀐 만큼 인보사의 효능·효과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코오롱생명과학의 기초연구 논문에 따르면 연골에서 유래된 TC가 연골재생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며 "TC의 유래 세포가 다른 세포로 바뀌었다면 연골재생효과가 제대로 일어나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인보사 품목허가가 성급하게 이뤄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백한주 가천의대 교수(대한류마티스학회 의료정책이사)는 "하나의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인보사가 판매 허가를 얻는 과정이 상당히 조급했다고 생각한다"며 "시판 허가의 근거가 된 임상 3상 연구 결과는 그 자체로 학술적 가치를 지니겠지만, 이를 근거로 시판을 하기엔 부족함이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코오롱생명과학 측과 식약처의 입장이 상이한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었다. 백 교수는 " 식약처는 임상전 자료에 의하면 치료용 세포주가 연골세포였다고 말하지만, 코오롱생명과학은 임상 전후 연구에 일관되게 293세포를 사용했다고 발표했다"며 "코오롱생명과학의 주장대로 임상 전에도 이런 세포주가 쓰였다면 기초 연구마저도 진실성 문제에 있어서 자유롭지 않다"고 했다.

이에 따라 대한류마티스학회는 환자들의 안전을 입증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보사 임상시험 혹은 시판 후 치료과정에 사용한 환자들에 대한 코호트를 구축해서 그들의 장기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세포치료제 품목허가 제도도 보완해야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백 교수는 "바이오 의약품의 개발, 임상시험, 시판 허가 등 전체 과정을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관계 부처 뿐만 아니라 학계의 전문가 및 연구자, 환자들이 참여하는 공개적인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ke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