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트럼프의 한국산 세탁기 관세에 美 소비자만 독박 썼다”

기사등록 : 2019-04-22 17:3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 일자리를 지킨다며 한국산 세탁기에 부과한 고율 관세가 미국 소비자들에게만 불리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소개한 미국 연방준비제도와 시카고대 경제학자들의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산 세탁기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결과 관련 일자리는 늘었으나 제품 가격 상승으로 미국 소비자들이 그에 대한 비용을 감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세탁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수입 세탁기에 120만대의 쿼터제를 실시하고, 쿼터 안에 드는 물량에 대해서는 20%, 쿼터를 넘는 물량에 대해서는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를 발동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세탁기 가격이 대당 86달러(약 9만8000원) 가량 올랐다.

특히 당초 외국 경쟁기업들에 대한 불만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동을 부추긴 월풀은 이 기회를 활용해 수입품보다 낮은 가격으로 승부하기보다, 덩달아 가격을 인상해 매출이익 증대를 꾀하고 있다.

또한 고율 관세 대상이 아닌 건조기까지 가격이 올랐다. 소비자들이 세탁기와 건조기를 한꺼번에 구입하는 성향이 있다는 사실을 간파한 기업들이 세탁기에 붙은 관세 비용을 쪼개 건조기 가격 인상으로 벌충한 것이다.

세탁기 가격만 20% 인상하는 것보다 세탁기와 건조기 가격을 각각 11.5% 올리는 것이 더욱 유리한 판매 전략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보고서에서 경제학자들은 세탁기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의 125~225%를 미국 소비자들이 부담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고율 관세로 인해 외국 기업들이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해 실제로 약 18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생겼지만, 일자리 하나를 만들기 위한 약 81만7000달러(약 9억3236만원)의 비용을 소비자들이 떠안고 있다는 분석이다.

 

go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