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외신출처

'원유 확보 초비상' 트럼프-이란 냉전에 한국 피멍

기사등록 : 2019-04-24 05:2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의 이란 원유 금수 제재가 지난해 11월부터 6개월간 한시적인 예외 조치를 적용했던 8개국 가운데 특히 한국과 중국에 커다란 충격을 가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양국 원유 정제업체의 이란산 초경질유 의존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미국 제재로 인한 피해 규모 역시 클 수밖에 없다는 진단이다.

원유 배럴[사진=로이터 뉴스핌]

인도를 포함한 일부 국가가 이란 원유의 대체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실상 8개국 대부분 이란산 원유 수출 금지 예외가 내달 2일 연장될 가능성을 기대,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만큼 당장 공급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23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3월 중국과 한국이 이란으로부터 사들인 원유가 각각 하루 60만배럴과 40만배럴 내외로 파악됐다.

이는 같은 기간 인도(26만배럴)와 일본(10만배럴)에 비해 현격하게 높은 수치다. 이른바 콘덴세이트(초경질유)로 불리는 이란산 원유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다.

이와 별도로 CNN은 아시아 최대 경제국들이 원유 공급원을 찾아 동동걸음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미국이 이란 제재를 공식 발표하기 앞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원유 수입국은 대체 공급원을 확보하느라 홍역을 치렀고, 예외 조치가 철회된 지금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국의 한화 토탈은 아프리카와 호주 등 다른 지역의 원유 시장을 타진하고 있고, 중국 유니펙 역시 중동과 서아프리카에서 대안을 모색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미국과 사우디를 포함한 그 밖에 산유국에서 생산하는 초경질유가 지극히 제한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는 데 난항이 예상될 뿐 아니라 비용 부담이 크게 뛸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주장대로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로’ 수준까지 떨어뜨리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지난달 하루 140만배럴에 달했던 공급 물량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혼란을 피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 석유업계는 여전히 제재 완화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블룸버그와 익명을 연구한 인터뷰에서 “미국이 이란산 원유 수입을 전면 제재한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일보 후퇴, 일부 물량을 허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6개월간 한시적인 예외가 적용됐던 한국과 중국, 일본, 인도, 대만, 그리스, 터키, 이탈리아 등 8개국 가운데 아시아 국가의 이란 원유 수입 비중이 지난 3월 기준 80%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원유 공급 차질과 함께 유가 상승에 따른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이 해당 국가의 경제 펀더멘털에 흠집을 낼 것이라고 월가는 경고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장 초반 배럴당 66.19달러까지 치솟으며 지난해 10월 말 이후 최고치를 나타낸 뒤 상승폭을 일정 부분 축소했다. 국제 벤치마크 브렌트유 역시 장중 배럴당 74.70달러까지 상승해 지난해 11월1일 이후 최고치 기록을 세웠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시장 충격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월가 트레이더들은 회의적인 표정이다.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