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구로다 BOJ 총재 "2021년도 물가목표 2% 달성 가능성 낮다"

기사등록 : 2019-04-25 16:5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포워드 가이던스 수정, 금융완화 정책을 오래 지속하겠단 뜻"
"해외 경제 등 리스크 커…물가상승 목표 달성에 시간 더 걸릴 것"
"헤이세이는 디플레와의 싸움…새 시대에도 BOJ 사명은 변치 않아"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구로다 하루히코(黒田東彦) 일본은행(BOJ) 총재가 25일 "2021년도에 2% 물가상승률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BOJ의 금융정책 방침을 나타내는 '포워드 가이던스'에 현재의 낮은 금리수준을 유지하는 기간을 "적어도 2020년 봄까지"라고 밝힌데 대해선 "금융완화가 계속될 거라는 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2020년 봄)보다 더 오랜 기간 초저금리를 계속한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BOJ는 이날 이틀 간의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친 뒤, 단기금리를 현행 마이너스 0.1%로 유지하고, 장기금리에 해당하는 10년물 국채금리도 제로 퍼센트 부근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날 함께 밝힌 2021년도 물가 상승률 전망은 1.6%로, 목표치(2%)에 미치지 못했다.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 [사진=로이터 뉴스핌]

구로다 총재는 이날 이틀 간 걸친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친 후 기자회견에 나섰다. 그는 경제와 물가에 대해 "하방 리스크가 크다"며 "강력한 금유 완화를 끈질기게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세계경제에 대해서 올해 하반기부터 성장이 가속될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불확실성이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BOJ는 이날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친 후 발표한 포워드가이던스의 표현 문구를 강화해 "적어도 오는 2020년 봄까지 현재의 매우 낮은 금리 수준을 유지한다"고 했다.

구로다 총재는 문구를 변경한 이유에 대해 "10월로 예정된 소비세율 인상이 가까워지면서 시간 축이 알기 어려워진데다,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금융완화 정책을 끈질기게 계속하겠다는 걸 명확하게 나타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적어도 2020년 봄까지는 금리를 올릴 생각은 없다는 뜻이며, 꽤 오랜 기간에 걸쳐 현재의 낮은 금리 수준을 계속하겠다는 뜻이다"라고 말했다. 구로다 총재는 "2020년 봄이 되면 금리를 바꾸겠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물가상승률 전망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구로다 총재는 BOJ가 2021년도 물가 상승률로 1.6%를 전망한데 대해 "2021년 중에 2%를 달성 못할 거란 말은 아니다"라면서도 "2021년에 (2%를) 달성할 가능성은 낮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구로다 총재는 "우리나라(일본)의 경제는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으며 물가도 2%를 향해서 서서히 올라가고 있다"면서도 "해외 경제 동향을 포함해 물가를 둘러싼 환경에 리스크가 커서 물가상승 목표 달성에 시간이 더 걸릴 거라 본다"고 말했다. 

이번 BOJ의 금융정책결정회의는 헤이세이(平成·1989~2019) 마지막 회의였다. 헤이세이 시대 BOJ의 정책을 평가해달라는 말에 대해 그는 "디플레와의 싸움"이라면서 "총재 임기가 6년정도이기 때문에 30년간의 정책을 돌아보는 게 무리가 있지만 헤이세이 시대의 금융정책에선 디플레이션이 컸다"고 했다. 

구로다 총재는 "디플레이션이 아닌 상태에서 헤이세이의 마지막을 맞이할 수 있게 됐지만, 2% 물가상승 목표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며 "오는 5월부터 시작되는 레이와(令和) 시대에 물가목표 실현을 위한 BOJ의 사명은 바뀌지 않았으며, 사명을 다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구로다 총재의 임기 내에 물가 상승 목표 실현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해 그는 "임기와 연계해서 목표 달성을 말하는 건 삼가겠다"면서도 "2%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오는 10월로 예정한 소비세 증세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해선 "소비세는 어디까지나 정부와 국가의 책임으로 하는 것이기에 직접적인 답변은 삼가겠다"고 했다. 

한편, BOJ는 이날 상장지수펀드(ETF)를 시장참가자들에게 일시적으로 빌려주는 'ETF대부제도' 도입을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구로다 총재는 이에 대해 "ETF 시장기능을 배려했다"며 "시장참가자들과 이야기할 필요가 있어 실현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BOJ는 이날 발표한 '경제·물가정세 전망'에서 신선식품을 제외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해 2019년 1.1%, 2020년 1.4%을 전망해 지난 1월 시점에 비해 각각 0.1%씩 하향조정했다. 실질성장률 전망은 2019년 0.8%, 2020년도는 0.9%로 전망해 마찬가지로 지난 1월 시점에 비해 각각 0.1%씩 하향조정됐다.  

 

kebj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