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5G 커버리지맵 작성 기준, 통신사 '입맛대로'

기사등록 : 2019-04-29 17:1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기준따라 5G 커버리지 현실과 다를수 있어"
과기정통부 "상용화 초기 단계...기준 제시 어려워"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통신3사가 공개한 5세대이동통신(5G) 커버리지 맵 기준이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통신사에 5G 커버리지 맵 공개를 의무화하면서 작성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5G 커버리지 맵 이용자들의 주의가 당부된다.

커버리지 맵이란 통신사가 기지국을 설치 완료해 5G를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을 표시한 지도다. 

[자료: 각 사 홈페이지]

29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공개한 것에 따르면 SK텔레콤이 5G 커버리지 맵 제작 기준을 가장 보수적으로 잡았다. SK텔레콤은 도심 지역 150미터, 지방 200~250미터를 기준으로 5G 커버리지 맵을 제작했다.

5G의 특성상 무선통신을 이용할 때 빌딩이 있으면 전파가 방해 받아 커버리지가 감소한다. 이에 빌딩이 많은 도심 지역의 기준을 좁게 잡아야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도심 지역에서 5G 커버리지는 빌딩이 많아 200미터 이상 나가기가 현실적으로 힘들다"면서 "이 같은 특성을 고려해 기준 자체를 보수적으로 잡았고, 맵 제작에 있어 현실 그대로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KT의 기준은 340~350미터로 알려졌고, LG유플러스는 기준을 350미터로 잡았다. 도심지역을 기준으로 SK텔레콤과의 커버리지 기준이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화웨이 장비의 경우 출력이 강해 전파가 멀리까지 갈 수 있다"면서 "지방에 건물 없는 곳에선 최대 500미터까지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각 통신사별로 5G 커버리지 기준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현재 업계에서 통용되는 5G 커버리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3일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테스크포스(TF)' 회의에서 통신사가 약관에 커버리지 정보제공 의무를 명시하도록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이통3사는 커버리지 맵을 홈페이지에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커버리지 기준을 몇 미터로 볼 것인가에 대한 기준은 없다. 롱텀에볼루션(LTE)의 경우 과기정통부가 커버리지 범위를 400~500미터로 제시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LTE의 경우 2012년 상용화 이후 2016년에 커버리지 기준을 제시했는데 당시 굉장히 많은 체증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확보해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면서 "5G의 경우 이제 막 상용화 했고, 관련 데이터도 없어 커버리지 기준을 정부에서 제시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용자 입장에선 각기 다른 기준을 적용한 통신사 커버리지 맵을 비교할 경우 발생할 혼선은 불가피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장비 마다 출력 차이가 있긴 하지만 고객이 사용할 때 큰 차이는 없다"면서 "커버리지 맵을 그릴 때 이론상 그리느냐, 솔직하게 그리느냐에 따라 통신사에서 제시하는 커버리지는 현실과 다를 수 있다"고 귀띔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기지국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고, 통신3사와 대화를 통해 커버리지 맵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여가는 방식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abc123@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