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3G, LTE에 이어 5세대(5G) 통신 시대가 시작됩니다. 사물과 인간이 촘촘히 이어지는 명실상부한 '초연결시대'가 구현되는 것입니다. LTE 보다 20배 빠른 네트워크 속도는 일상의 변화는 물론 인공지능·가상현실·자율주행·스마트홈 등 4차산업혁명을 완성하는 기반입니다. 뉴스핌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와 맞물려 5G란 무엇이며, 기업과 정부의 역할, 바뀌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등 총 50회에 걸친 '5G 빅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밤 늦은 시각 혼자 국도를 달리다 큰 사고로 의식을 잃은 A씨. 다행히 A씨의 차량에 설치된 스마트 호출 시스템으로 119에 자동으로 신고 접수가 가능했다. 119는 응급 드론을 띄워 A씨의 위치와 현 상태를 우선 파악했다. 동시에 응급환자 정보전달체계로 주변에 긴급 수술이 가능한 병원을 찾아, 신속하게 이송했다. 생명이 위독한 순간이었지만 A씨는 5G가 접목된 응급시스템 덕에 귀중한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정부가 오는 2021년까지 세종시 5-1생활권과 부산에코델타시티에 3조6000억원을 투입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를 완성키로 했다.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집합체다. 5G 기술을 활용한 빅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핵심기술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도시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월 발표한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세종스마트시티 시행계획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의 헬스케어 서비스 사업 내용이 담겨 있다. 세종5-1생활권에 조성되는 스마트시티는 모두 7대 핵심 서비스 구현에 초점을 맞췄다. 모빌리티와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다. 오는 2021년까지 총 1조4876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세종시 시범도시 헬스케어 시나리오 [자료=국토부] |
응급상황 발생시 스마트 호출과 응급용 드론 활용, 응급센터까지 최적경로 안내, 화상연결을 통한 환자정보 전달(응급차-병원)로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환자 생존율을 높여 나가는데 5G 기술이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개별 병원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개인 건강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의료, 환자 상태에 따른 최적병원 연계로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도시 전체가 확장된 병원으로 역할을 하게 된다.
세종은 또 혁신요소별로 수집되는 개인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이 서비스 전반에 접목되며 인공지능(AI)으로 도시를 운영하는 세계 최초 스마트시티를 목표로 조성된다.
◆자율차 전용도로·모빌리티 최적화 등 공간구조 달라져
세종스마트시티는 최적화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시 공간구조부터 새롭게 계획한다. 자율주행·공유 기반의 첨단교통수단 전용도로와 개인소유차량 진입제한 구역이 마련된다. 예컨대 자율차 전용도로구역 안에서는 개인소유차의 통행·주차를 제한하고 자율 셔틀과 공유차 이용을 유도한다.
또 초소형 전기차나 세그웨이, 전동킥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도로를 설계할 계획이다. 스마트 횡단보도, 스쿨존 안전서비스와 같은 보행자를 위한 요소도 공간구상에 반영한다. 이를 통해 도시 안에 개인소유 자동차 수를 3분의 1 수준으로 점차 감소시켜 자동차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걷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나간다.
부산 시범도시 로봇배송 개념도 [자료=국토부] |
세종과 함께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된 부산에코델타시티는 로봇 산업이 선두에 선다. 로봇이 주차를 대신해 주거나 백화점에서 주문한 물건을 로봇에게 전달받는 시대가 열린다. 부산스마트시티 시범도시는 또 일상생활 속에 로봇 서비스를 접목해 부산이 겪고 있는 고령화와 일자리 감소 문제에 대처한다.
예컨대 주차 로봇, 물류이송 로봇이나 의료로봇 재활센터(헬스케어 클러스터)를 도입해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로봇통합관제센터(플랫폼)와 로봇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로봇에 최적화된 인프라와 테스트베드를 제공해 기업의 자유로운 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취수원에서 수도꼭지까지 물 공급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물 특화 도시로 육성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5G 기반의 도시구상부터 운영까지 도시 조성 전 과정을 포괄한 스마트시티 조성·운영 모델을 해외에 수출할 계획"이라며 "우선 진출국으로 선정한 말레이시아를 비롯해 동남아, 중남미, 중동지역 수출을 타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범도시에 참여한 각 분야별 기술이나 솔루션 기업의 해외진출도 돕기 위해 실증사업 지원과 해외 판로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