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셀트리온, 1분기 영업익 전년비 33%↓…"1공장 가동중지 영향"

기사등록 : 2019-05-08 16:5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셀트리온 1분기 영업익 774억
2월부터 1공장 일부 가동…4분기 10만L 완전 가동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호조 이어가

[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셀트리온의 올해 1분기 실적이 1공장 증설 및 가동 중지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뒷걸음질 쳤다. 다만 올해 1분기부터 공장 일부 가동되고, 올 4분기에는 공장이 완전 가동되는 만큼 실적 회복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셀트리온 전경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은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77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2.91%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2217억원으로 9.5%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22.69% 감소한 63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1공장 증설을 위해 가동을 중지하면서 실적에 영향을 끼쳤다"며 "일시적인 이유"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5만L 규모의 1공장을 10만L 규모로 증설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공장 가동을 일시 중지했다. 지난 2월부터 공장 일부를 재가동했으며, 올 4분기에는 10만L 규모의 공장을 완전 가동할 계획이다.

다만, 올 1분기 영업이익은 전분기인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서는 75.82% 증가했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8.59%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68.77% 늘었다.

셀트리온은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의 원인으로 혈액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트룩시마'와 유방암·위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허쥬마'의 유럽 판매 호조를 꼽았다.

트룩시마와 허쥬마는 각각 2017년 2분기와 지난해 2분기에 유럽시장에 출시됐다. 두 제품은 출시 이후 안정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지난해말 의약품시장 조사 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의 유럽 시장 점유율은 각각 57%, 36%, 10%를 기록했다.

램시마SC의 공급이 시작된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램시마SC의 유럽 판매 승인 시점이 다가오자 회사는 생산 및 물류 유통 일정을 감안해 미리 제품 공급을 시작했다. 앞서 셀트리온은 지난해 11월 유럽의약품청(EMA)에 램시마SC 판매허가 신청을 했다.

회사는 또 램시마SC의 임상 1·2상을 면제하고, 임상 3상만 진행하는 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 받았다. 셀트리온은 2022년 램시마SC의 미국 출시를 목표로 임상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에는 램시마SC EMA 승인, 중국 합작법인 설립 및 글로벌 케미컬 사업이 본격화하는 등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로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회사는 올 상반기 중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해 신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합작법인을 통해 바이오시밀러 중국 내 임상, 허가, 판매까지 진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셀트리온은 중국 성정부 지원 하에 허가 등 시장 진입 장벽을 최소화했다.

또 회사는 재무적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유치해 중국 내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제조설비에 투자할 계획이다. 해당 설비를 셀트리온의 위탁 생산 기지로 활용한다면 시너지 효과가 높을 것이라고 셀트리온 측은 분석했다.

셀트리온은 화학합성의약품(케미컬 의약품) 사업에도 박차를 가한다. 회사는 지난해와 올 해 FDA로부터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인 '테믹시스'와 항생제 '리네졸리드' 등 개량신약과 제네릭 의약품 판매 승인을 받았다. 

 

ke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