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미·중 앵커들, 무역전쟁 놓고 16분간 설전...지재권·관세 등 토론

기사등록 : 2019-05-30 17:0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김세원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양국의 앵커 두 명이 무역전쟁 문제를 두고 폭스 비즈니스 채널 '트리시 리건 프라임 타임'에서 공개적으로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폭스 비즈니스 채널의 앵커 트리시 리건과 중국 CCTV의 영문 채널인 CGTN의 앵커 류신이 29일(미국 현지시간) 저녁 생방송으로 공개 토론을 펼쳤다고 30일 보도했다.

미중 앵커들의 토론은 시작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토론은 미 동부시간으로 29일 저녁 8시에 시작됐으며, 15~16분 간 진행됐다. 중국에서는 토론이 방송되지 않았지만, 네티즌들은 토론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서는 토론이 시작되기 전 이미 토론에 관한 게시물이 무려 15억개나 올라온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은 먼저 폭스 비즈니스의 앵커가 CGTN의 앵커를 중국 공산당원이라고 소개하면서 불 붙었다. 이 같은 소개에 류신 앵커는 "바로잡아야겠다. 나는 중국 공산당원이 아니다. 이것은 공식적인 것이니, 제발 나를 공산당원으로 단정 짓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나는 중국 공산당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오늘 CGTN의 저널리스트인 류신 바로 나 자신을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고 설명했다.

두 앵커는 지식재산권(지재권)과 강제 기술이전, 관세, 경제체제 등의 문제를 놓고 열띤 공방을 이어갔다. 리건 앵커가 중국의 지재권 문제를 꺼내들며 "중국이 수천억달러 상당의 엄청난 양의 지재권을 훔쳤다는 증거가 있다"고 공격하자 류신 앵커는 중국의 지재권 침해를 인정하면서도 개인과 기업 차원에서 진행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지재권 침해가 있다는 점을 부인하지 않는다"면서도 "아마 전 세계 모든 곳에서 일어나는 관행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류신은 또 "미국에도 지재권 침해로 서로를 고소하는 기업들이 있다"면서 지재권 침해 사례는 양국에서 발생하는 데, 중국의 사례만 부각시키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WSJ는 류신이 중국의 강제기술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나는 미국인 선생님들이 있으며 그들로부터 영어를 배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리건이 류신에게 중국의 "국가자본주의"에 대한 질문을 하자, 류신은 국가자본주의가 아닌 "중국식 특색을 지닌 사회주의 경제"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사람들은 중국의 모든 것을 국가가 통제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류신은 "일례로 통계를 보면 고용의 80%는 민간기업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중국 수출의 80%도 민영기업이 생산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양측은 관세에 대해서는 "관세를 없애버리는 것이 훌륭한 생각"이라는 점에서 의견을 함께했다. 

SCMP와 WSJ에 따르면 사람들은 두 앵커들의 토론을 보고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토론이 너무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토론이라기보다는 무역과 중국의 경제에 대한 단조로운 인터뷰로 느껴졌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 밖에도 두 앵커가 덜 공격적이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토론이 마무리 된 뒤 트리시 리건은 트위터에 "오늘 밤 중국과 미국의 무역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함께해준 류신에 감사하다"고 적었다. [사진=트리시 리건 트위터]


saewkim91@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