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신한, KB 등 5대 금융지주가 향후 5년간 총 200조원에 가까운 직·간접 지원을 약속하는 등 혁신금융에 팔을 걷어붙였다.
혁신금융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중소·중견기업에 금융권 자금을 공급해 성장을 지원하자는 취지다.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이 '혁신금융 비전선포식'을 주재한 데 이어, 최종구 금융위원장 주재로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가 출범하면서 혁신금융은 금융권 내 화두로 떠올랐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가 약속한 혁신금융 지원액은 무려 198조3000억원에 달한다. 이중 직접 방식인 투자가 8조2000억원, 간접 방식인 대출지원이 190조1000억원. 5대 금융지주는 이를 향후 3~5년간 단계적으로 혁신 성장기업에 지원할 방침이다.
가장 빨리 움직인 곳은 신한금융이다. 신한금융은 올 3월말 조용병 회장이 위원장인 '혁신금융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면서, 향후 5년간 혁심금융에 약 48조원을 직·간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이후 신한금융은 대출지원 규모를 늘려 총 지원액을 64조1000억원으로 키웠다.
이는 두 번째로 지원계획을 밝힌 KB금융(총 62조원)보다 2조원 가량 많은 규모. 이어 혁신금융 지원규모는 우리금융 33조2000억원, 하나금융 20조원, NH농협금융 19조원 순이다. 단 하나금융 지원규모는 향후 3년 기준으로, 5년으로 환산하면 우리금융보다 금액이 크다.
전담 조직은 NH농협금융을 빼고 모두 갖춘 상태다. 신한금융 '혁신금융추진위원회', KB금융 '혁신금융협의회', 우리금융 '혁신금융추진위원회', 하나금융 '혁신금융협희회' 등 3월부터 순차적으로 혁신성장 전담조직이 출범했다. NH농협금융 관계자는 "전담조직은 없으나, 기획부서에서 담당한다"고 했다.
대출지원에 무게가 실렸다는 점에서 지원을 구현하는 방식은 대동소이하다. 혁신성장 기업을 위한 맞춤형 상품을 출시하거나,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들은 '일괄담보제'를 일제히 강조하면서 현 정부의 방침에 발맞추는 모습이다. 일괄담보제는 기업이 부동산뿐만 아니라 특허권, 생산설비 등을 모두 담보로 대출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담보가 부족해 대출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자금 숨통을 열어주기 위한 취지로 정부가 추진중이다.
가장 먼저 신한금융은 '일괄담보제 도입에 따른 유·무형자산 담보 통합 신상품' 개발을 예고했다. KB금융은 집합자산의 가치평가 및 담보물 사후관리 등에 대한 일괄담보제 도입을 검토하고,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은 일괄담보제 도입을 위해 각각 시스템 개선에 나설 예정이다.
투자는 계열사 간 전용펀드를 조성해 집행된다. KB금융은 KB인베스트먼트를 통해 벤처펀드, 우리금융은 직접투자 및 그룹 주도 혁신성장펀드, 하나금융은 하나벤처스를 통해 중소·벤처기업 펀드를 조성한다. 신한금융은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퓨처스랩과 블라인드 펀드 등을 활용한다.
단기간 내 혁신금융 규모를 크게 늘리면서 나오는 '리스크 관리' 방안도 마련해뒀다. 통상 중소기업 대출은 리스크 관리가 쉽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신한금융은 신기술, 신사업 전담 심사팀을 운영하고 산업별 성장 예측 시스템을 정교화하기로 했다. 또 기술력과 함께 매출·매입 현황, 부가세 정보 등 기업의 다양한 정보를 기업여신 자동결정 모형에 반영해 여신심사를 고도화해나갈 방침이다.
분위기는 다른 금융지주도 비슷하다. KB금융 관계자는 "재무구조, 신용등급, 기술력·성장성 등을 감안하기 때문에 시작부터 일정 수준의 리스크 관리가 된다"며 "이후 정기적인 점검과 사후관리를 수반할 것"이라고 전했다.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