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적극 소통할 것"...기업 옥죄기 우려에 답한 김상조

기사등록 : 2019-06-23 10: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소통 강화하고 예측 가능한 정책 펼 것"
소득주도성장·공정경제 정책 기조 유지
기업심리 위축 막을지는 '미지수'
"홍남기 부총리가 컨트롤타워"

[세종=뉴스핌] 한태희 기자 = 재벌개혁에 앞장서 한 때 '기업 저승사자'라고 불렸던 김상조 신임 청와대 정책실장이 기업과의 소통을 강조하고 나섰다. 

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정책 컨트롤타워라고 강조하며, 재연될 수 있는 '경제 투톱 엇박자' 논란도 경계하는 모습이다.

김상조 정책실장은 지난 21일 오후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이임식 후 공정위 기자실을 방문해 출입기자들과 만나 "제가 정책실장으로 가면 왜 기업 기를 꺾는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며 "기업이 우려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뉴스핌 DB]

김상조 정책실장은 재벌개혁에 앞장선 대표적인 인물이다. 1999년 참여연대 재벌개혁감시단 단장을 맡아 재벌개혁 운동을 주도했다. 문재인 정부 초대 공정거래위원장을 맡은 후에는 재벌개혁과 함께 '갑질 근절'에 주력했다.

김 정책실장은 기업이 사회적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난 19일 김 정책실장은 "포용사회라는 전제조건을 형성하는데 혁신 사업가들이 선도해달라"는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 지난 18일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가 '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묻는 것은 과하다'는 취지로 한 말에 대한 답변이다.

그렇지 않아도 '기업 저승사자'라는 이미지가 강한 김 정책실장이 기업이 부담으로 느낄 만한 글을 올린 셈이다. 이후 공정위원장에서 정책실장으로 자리를 옮긴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니 '기업 옥죄기'가 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김 정책실장은 기업 및 재계와의 소통을 강화해서 이런 불안감을 잠재운다는 계획이다. 김 정책실장은 "기업이 우려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공정위원장으로 있을 때보다 재계를 포함한 이해 관계자와 보다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경제정책 기조 변화는 없다고 공언한 터라 기업심리 위축을 막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

현재까지 김 정책실장이 한 발언만 보면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공정경제와 소득주도성장을 추진해서 경영 환경 불확실성을 제거한다는 데 방점이 찍힌다.

김 정책실장은 "공정경제는 혁신성장을 위한 토대라고 누누이 강조했다"며 "예측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정책실장은 "이것이 기업에게 가장 우호적인 환경이지 않을까 싶다"며 "충분히 듣고 협의하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 1기 경제팀 임기 내내 불거졌던 '경제 투톱 불협화음' 논란 재발 가능성을 차단하고 나섰다. 홍남기 부총리가 경제정책 컨트롤타워이고 본인은 뒤에서 지원한다고 역할을 정리했다. 김동연 전 부총리와 장하성 전 정책실장 사이에 불거졌던 '엇박자 논란'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특히 김 정책실장은 당장 7월 초에 정부가 발표하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도 홍남기 부총리가 주도한다고 했다. 정책실장이 바뀌었다고 해서 지금까지 준비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내용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거나 발표 시기를 늦추지 않겠다는 얘기다.

김 정책실장은 "경제부처 장관들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초안 검토 회의를 했고 계속 보완하는 과정"이라며 "홍남기 부총리가 설정한 타임 스케쥴대로 간다"고 말했다. 이어 "홍 부총리가 합참의장이고 저는 병참기지 역할을 한다"고 부연했다.

 

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