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정부, 국내산 쌀 5만톤 대북지원에 남북기금 408억원 사용키로

기사등록 : 2019-06-28 12:4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北 120개 시군 대상 취약계층 212만명에게 제공
국제시세 기준 쌀 272억원·모니터링 등에 136억원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정부가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한 국내산 쌀 5만톤을 북한에 지원하는데 남북협력기금 408억원을 사용하기로 했다.

통일부는 28일 "지난 21~28일 서면으로 진행한 제306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교추협)을 통해 대북 식량 지원을 위한 남북협력기금 지원안을 심의·의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구체적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수산물유통공사에 272억6000만원이 지급된다. 쌀 5만톤의 국제 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이자 국내 운송비 등에 쓰인다.

국내항에서 북한항까지의 수송비와 북한 내 분배와 모니터링 비용 등에 쓰일 1177만달러(약 136억원)도 있다. 다만 이는 WFP에 지급되는 것으로 확정된 금액이 아니며 WFP와의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

통일부 청사 내부 [사진=뉴스핌 DB]

이밖에 국내외 쌀 가격 차액 869억9000만원과 가공·포장 등 부대비용 95억3000만원은 양곡관리특별회계에서 별도로 지출된다. 이를 합치면 사실상 정부가 대북 쌀 지원을 위해 집계한 총비용은 1400억원 수준이다.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에게 지원하는 쌀 5만톤은 북한 내 120개 시·군 취약계층 총 212만명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이 중 임신·수유중 여성, 영유아 등 149만5000명은 기존 WFP 영양지원사업 대상이다. 이들은 WFP의 '영양강화식품'과 함께 정부가 공여한 쌀을 지원 받는다.

나머지 62만5000명은 WFP의 주택, 관개시설 개선 등 자연재해 대응과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공근로 사업에 참여하는 대가족, 여성세대주, 장애인 포함 가족 등으로 정부가 공여한 쌀만 지원 받는다.

한편 교추협 의결 이후에는 쌀의 도정, WFP와의 수송경로 협의 등의 절차가 남아있다. 정부는 이르면 9월 내에 쌀이 북한 주민에게 전달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no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