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처음으로 도입한 2017년 하반기 이후 명문대 출신 합격자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 인재와 여성 채용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등 다양성 측면에서 긍정적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블라인드 채용'은 이력서에 기본적인 인적사항과 관계된 사진, 나이, 성별, 가족관계, 출신지역 표기를 삭제하는 대신 직무관련 과목이나 교육 이수사항 등 실질적 직무역량에 초점을 맞추는 채용제도이다. 기존 국가직무능력(NCS) 방식의 열린채용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취업준비생들 간 공정성과 형평성을 높여주는 제도라 할 수 있다.
25일 고용노동부가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의뢰한 '블라인드 채용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에 따르면,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 정책 이전 (2015~2017년 상반기)과 이후(2017년 하반기~2018년 상반기)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명문대(SKY) 출신 채용이 전체 채용인원의 15.3%에서 10.5%로 5%p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SKY 출신 채용만 백분률로 환산하면 31.4% 줄어든 셈이다.
특히 블라인드 채용 도입 이전 명문대 출신 채용률이 31.1%로 가장 높았던 금융기관들은 도입 이후 24.6%로 6.5%p 감소했고, 연구교육기관들 역시 이전과 이후 27.8에서 18.6%로 10%p 가까이 줄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채용에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명문대 출신자의 합격비율이 낮아진다면 이는 학벌 차별이 완화하고 다양성이 증가한 성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대학 출신자 비율도 이전 시기 53.4%에서 이후 시기 50.2%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비수도권 대학 출신자가 이전 시기 38.5%에서 이후 시기 43.2%로 5%p 가까이 증가해 지방대학 출신 인재들의 공공기관 취업문이 넓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외대, 전문대, 기타대 비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해외대 비율은 이전 시기 3.5%에서 이후 시기 2.8%로, 전문대 비율도 이전 시기 3.1%에서 2.4%로, 기타대 비율은 이전 시기 0.7%에서 이후 시기 0.6%로 감소했다. 단, 고졸 비율이 이전 시기 0.7%에서 이후 0.8%로 소폭 상승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을 띄지는 않았다.
출신대학 수는 이전 시기 평균 10.3개에서 이후 13.1개로 3개 가까이 늘어 다양성 증대의 한 성과로 볼 수 있다. 석박사 비율 평균값은 이전 시기 28.2%에서 이후 시기 25.6%로 다소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지역 인재와 대졸여성 비율은 블라인드 채용 전후로 눈에 띄는 증가를 나타냈다.
우선 블라인드 채용과 함께 2017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지역인재할당제'에 따라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은 지역인재채용 비율을 3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 지역분균형 해소를 위한 취지다.
각 기관의 전체 채용인원 중 지역인재가 차지하는 비율은 이전 시기 평균 18.50%에서 이후 시기 21.99%로 3%p 이상 증가했다. 정부가 목표로 한 30%까지는 약 8%가 남은 상황이다.
대졸채용인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도 이전 시기 39.8%에서 이후 시기에 43.1%로 증가해 블라인드 채용이 대졸여성 비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기관유형별로는 의료분야가 이전 시기 74.2%에서 68.8%로 감소한 반면, 고용보건복지는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52.3%에서 62.4%로 10%p 이상 증가했다. 이외 문화예술외교법무분야 경우도 이전 시기 51.3%에서 이후 시기 53.8%로 다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블라인드 채용 이전 시기와 이후 시기 평균 채용 인원은 28.59명에서 37.88명으로 증가해 블라인드 채용 도입이 공공기관들의 전체 채용 인원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 114.67명에서 138.46명으로 늘어 가장 높은 수준의 증가를 나타냈다.
이상민 연세대학교 경영학부 교수가 이끈 이번 조사는 9개 분야(SOC, 고용보건복지, 금융, 농림수산환경, 문화예술외교범무, 산업진흥정보화, 에너지, 연구교육, 의료) 260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