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국내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원별로 원인을 규명하면서 그간 미세먼지 저감 조치가 어려웠던 특수장비·소각장 등에 맞춤형으로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데 정부 예산 450억원이 투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현장 맞춤형 미세먼지 영향 규명·실증’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배출원별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실증 및 주요 미세먼지 발생원인 규명을 위해 앞으로 3년간 총 450억원을 투자한다. 올해 90억원, 내년 180억원, 2021년 180억원이 책정됐다.
[사진=과기정통부] |
올해 ‘특수 장비 및 소각장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실증’과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별 원인분석 및 영향 분석 고도화’ 주제의 신규과제를 2~3주 공고한다.
배출원별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실증 기술개발과 관련해선,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함에도 실효적인 저감 조치가 부족했던 특수 장비, 노후 소각장 등 배출원에 대한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에 3년간 총 250억원을 투자한다.
또한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실증을 위해 지자체·사용자 등이 참여하는 리빙랩 방식의 실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수장비에 대해선 차세대 미세먼지 저감기술을 활용해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실증형 신기술을 개발하고 건설기계·선박 등 특수 장비에 실증한다는 계획이다. 소각장의 경우 사업장 내 대형 소각장 등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폐기물 소각 공정기술 및 소각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실증한다.
이를 통해 그간 저감조치가 어려웠던 배출원에 대해 차세대 신기술을 개발·실증함으로써 실효적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 맞춤형 발생원별 미세먼지 원인규명 고도화에 대해서는 사업장·항만 등 미세먼지 발생 원인이 다양하고 종합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 현장 맞춤형 미세먼지 원인규명 및 영향도 분석 고도화를 위해 약 3년간 총 200억원을 투자한다.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은 사업장‧자동차‧항만‧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이어 미세먼지 생성‧이동‧확산 및 주변 대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등 다양한 발생원별 미세먼지 원인을 심층‧종합적으로 규명한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별 배출량 및 영향도 등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 등을 제시하고 권역별 미세먼지 관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신규 과제 공고는 주요 발생원별 원인규명 고도화(8.9~8.28), 배출원별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실증(8.16~8.30)으로 나누어 각각 공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 한국연구재단(www.nrf.re.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는 21일 수요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에서 연구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정병선 연구개발정책실장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저감실증부터 원인규명까지 미세먼지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과학기술 기반의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