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문화

미디어가 우리 상황을 결정한다…서울대미술관 '미디어의 장'

기사등록 : 2019-09-10 16:1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대미술관, '미디어가 삶의 변화에 끼치는 영향' 주제 전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미디어 이론가 프리드리히 키틀러는 미디어가 우리의 상황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 그만큼 미디어가 가진 파급력은 대단하다. 스마트폰 하나가 해내는 업무능력은 사실 굉장하다. 외출할 때 스마트폰 하나만 챙겨도 뭐든 가능한 세상이다. 물건을 살 때, 전화를 걸고 받을 때, 심지어 친구를 사귀고 만나는 것도 스마트폰이 대신할 수 있다. 현 시대를 장악한 디지털 미디어는 우리 삶의 모습을 바꿔놓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진 마이어슨, 13 Hours ahead (of NYC), 2019, 캔버스에 유채, 150x265.5cm [사진=서울대미술관]

지구를 끌어당기는 중력만큼이나 강력한 힘을 가진 미디어가 불러온 사회의 변화를 전시에서 살펴볼 수 있다. 바로 서울대학교미술관이 개최하는 '미디어의 장'에서다. 전시는 지난 5일 개막해 오는 12월 4일까지 이어진다.

서울대학교미술관 윤동천 관장은 이번 전시에 대해 "미디어에 대해 살펴보는 전시이면서 미디어로 인한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며 "미디어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미디어의 변모로 인간 개개인의 신체와 인지의 변화, 이로 인해 삶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미술의 시각으로 볼 수 있다"고 소개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이영주의 '꿈꾸는 달걀들'을 설명하는 조나현 선임학예연구사 2019.09.10 89hklee@newspim.com

전시장 초입에 등장하는 진 마이어스의 회화는 우리의 눈을 혼란시킨다. 그의 작품은 디지털 회화처럼 보이지만 유화물감을 사용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작됐다.

다만, 구상은 디지털 미디어로 사용한다. 이미지 변형 툴을 사용하거나 스캐너에 드로잉을 올려놓고 움직이는 등 일부러 왜곡된 형상을 만든 후 전통적 방법으로 재현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에는 어린 시절 미국으로 입양된 작가의 사연도 녹아있다. 자신의 정체성에 혼돈을 느낀 모습을 미디어 속 길을 잃을 우리의 모습에 대입했다.

애니메이션 작품 '꿈꾸는 달걀들'은 디지털 미디어로 인간관계를 맺는 현재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영상의 여주인공은 정자은행 웹사이트에서 어린 시절 교감을 나눴던 남자아이와 비슷한 캐릭터를 찾아 나선다. 마치 온라인 쇼핑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 상황은 '사랑'이라는 개념 자체가 점차 바뀌어 가고 있음을 설명한다.

전시장 전경 [사진=서울대학교미술관]

이은희 작가는 디지털 미디어 사회에서도 일어나는 차별을 꿰뚫어보는 2채널 영상 '콘트라스트 오브 유'로 관람객과 만난다.

이 작품은 미디어로 인한 변화를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삶의 태도에 제동을 건다. 무조건적인 기계 예찬에 대한 경고도 담는다. 일례로 스마트폰 얼굴인식 프로그램에 작용하는 인종차별 문제도 건드린다. 인공지능은 단순히 눈, 코, 입의 정보로 일반인을 범죄자로 만들어 버리기도 하고 특정 인종을 인식 대상에서 제외해버리기도 한다. 작가는 미디어를 희망적이고 긍정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미디어의 발전이 모든 인간에게 평등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한다.

윤동천 관장은 최근 미디어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주제로 기획된 전시가 많아지는 경향에 대해 "미디어를 바라보는 미술적 시점의 변화가 바뀌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대마다 대두되는 미디어는 다르다. 최근에는 매스 미디어가 아닌 디지털 미디어가 '미디어'의 대표 의미로 통한다"며 "이번 '미디어의 장'은 미디어가 불러온 삶의 변화에 더욱 집중한 전시"라고 강조했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