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대전·세종·충남

카이스트, 스마트폰 센서만으로 사물 인식 정확도 98% 달성 기술 개발

기사등록 : 2019-10-01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스마트폰으로 사물 두드리는 것만으로 사물 인식하는 '노커' 기술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카이스트(KAIST)는 스마트폰을 사물에 두드리는 것만으로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노커(Knocker)’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카이스트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공태식 박사과정·조현성 석사과정·인하대학교 이보원 교수)이 진행한 이번 연구는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이 가능하고 추가 장비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공태식 박사과정·조현성 석사과정·이성주 교수(왼쪽부터)가 노커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카이스트]

노커 기술은 스마트폰 사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전망이다. 예를 들어 빈 물통을 스마트폰으로 노크하면 자동으로 물을 주문할 수 있고,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활용해 취침 전 침대를 노크하면 불을 끄고 알람을 자동 설정하는 등 총 15개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선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기존의 사물 인식 기법은 여러가지로 문제점이 있었다.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카메라를 활용해 사진을 찍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어두운 환경에서는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RFID 등의 전자태그를 부착해 전자신호로 구분하는 방법의 경우는 태그의 가격 부담과 인식하고자 하는 모든 사물에 태그를 부착해야 한다는 비현실성 때문에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노커 기술은 카메라와 별도의 기기를 쓰지 않아도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노커 기술은 물체에 ‘노크’를 해서 생긴 반응을 스마트폰의 마이크·가속도계·자이로스코프로 감지하고 이 데이터를 기계학습 기술을 통해 분석해 사물을 인식한다.

연구팀은 책, 노트북, 물병, 자전거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23종의 사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혼잡한 도로, 식당 등 잡음이 많은 공간에서는 83%의 사물인식 정확도를 보였고 가정 등 실내 공간에서의 사물인식 정확도는 98%에 달했다.

이성주 교수는 “특별한 센서나 하드웨어 개발 없이 기존 스마트폰의 센서 조합과 기계학습을 활용해 개발한 소프트웨어 기술”이라며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사물과의 상호 작용을 보다 쉽고 편하게 만들어 준다”고 말했다.

연구에 대한 설명과 시연은 링크(https://www.youtube.com/watch?v=SyQn1vr_HeQ&feature=youtu.be)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자세한 정보는 프로젝트 웹사이트(https://nmsl.kaist.ac.kr/projects/knocker/)에서 볼 수 있다.  

gyun50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