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방송·연예

[文정부 반환점] 지상파부터 OTT까지...'신남방정책' 발맞추는 방송계

기사등록 : 2019-11-08 16:1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편집자] 문재인 정부가 11월 9일로 임기 5년의 반환점에 섭니다. "잘못된 관행과의 과감한 결별"이란 취임사로 시작한 '문재인의 2년 6개월'은 소득주도성장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두 축으로 야심차게 출발했지만 경제와 남북문제 모두 답답한 흐름인 것도 현실입니다. 종종 피로감도 엿보입니다. 과연 후반 레이스는 어떨지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이 문재인 정부의 나머지 절반을 짚어봅니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신남방정책'을 천명하면서 방송계도 동남아 7개국 진출에 발맞추고 있다. 지상파의 K팝 아이돌들을 주축으로 한 한류 콘텐츠부터 해외 간접 진출로 예비 시청자들을 확보하려는 토종 OTT(Over The Top,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웨이브의 시도도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9일(현지시간)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신남방정책'을 공식 천명했다. 이후 방송계에서도 점차 인도네시아 및 동남아 국가를 향한 시장개척 의지를 보이고 있다. 홍콩과 태국 방콕을 넘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세안 국가들은 '신남방정책' 이전에도 이미 한류에 우호적인 주요 소비층 가운데 하나였다.

◆ SBS MTV, 동남아 20개국으로 '더쇼' 동시 생방송…'K팝 한류' 이어받을까

KBS를 비롯해 MBC, SBS는 그동안 주로 한류 드라마, 예능 등 자사 콘텐츠로 동남아시아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 태국과 필리핀, 베트남은 이미 규모와 충성도가 보장된 한류 시장이다. 이 가운데 문 정부의 '신남방정책'이 천명되면서 동남아 국가 콘텐츠 수출과 협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란 관측이 흘러나온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사진=SBS MTV]2019.11.08 jyyang@newspim.com

가장 먼저 SBS에서는 자회사 SBS MTV에서 방영 중인 가요 프로그램 '더쇼(THE SHOW)'를 올해부터 아시아 총 20개국에 송출 중이다. 올 초 이들은 "2019년도부터 MTV Asia를 통해 아시아 18개국에서 '더쇼'를 생방송으로 즐길 수 있게 됐다"고 알렸다. 이에 따라 한국, 일본(TBS) 외에도 올해부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몽골, 브루나이, 동티모르, 미얀마,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사모아, 쿡 제도, 팔라우 등 아시아 20개국에서 동시 생방송되고 있다.

특히 태국과 필리핀, 싱가폴, 베트남 등은 방탄소년단을 비롯해 엑소, 워너원, 뉴이스트 등 이미 수많은 한류 아이돌 그룹, 가수들이 해외 투어 때마다 찾는 K팝 팬들의 대표 국가다. '더쇼'가 아시아 20개국으로 송출되면서 전통적인 한류 타깃이던 아시아 주요국을 넘어 동남아의 다양한 국가에도 K팝 접근성을 현저히 높였다는 평가다.

또 SBS MTV는 유료 케이블 TV방송으로 구분되는 채널이지만, 이같은 동시 생방송이나 현지 주최 공연들이 지상파로 확대될 여지도 있다. 실제로 KBS의 대표 음악 방송 프로그램 '뮤직뱅크'는 주기적으로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유럽, 남미 등지를 오가며 월드투어 특별방송으로 한류팬들을 만나왔다. 문 정부의 '신남방정책'과 맞물려 지상파 방송과 한류 아이돌이 만난 콘텐츠가 더 적극적으로 아세안 국가로 향할 거란 예측이 가능한 이유다.

[서울=뉴스핌] 이한결 기자 = 16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1928 아트센터에서 열린 '웨이브 출범식'에서 참석 내빈들이 세레모니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태현 콘텐츠웨이브 대표이사, 최승호 MBC 사장, 양승동 KBS 사장,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박정훈 SBS 사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고삼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2019.09.16 alwaysame@newspim.com

◆ 지상파 주축된 토종OTT 웨이브, 동남아 7개국 서비스…'선진출' 의지 확고

지난 9월 출범해 지상파 3사의 콘텐츠를 독점 공급하기로 한 OTT 플랫폼 웨이브(wavve)는 론칭 이후 첫 번째로 동남아 7개국의 서비스를 확대했다. 사용자들은 '웨이브고(wavve go)' 서비스를 통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라오스, 태국 등 7개 국에서 콘텐츠 모바일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웨이브고' 서비스는 해당 국가에서 직접 서비스를 론칭해 아세안 국가 사용자를 유치하는 직접 진출로 볼 수는 없다. 국내에서 후발주자로 출발한 웨이브는 앞서 넷플릭스 등 해외 업체인 타 OTT에 비해 현지화에 취약한 것도 사실. 그럼에도 타 국가에 앞서 첫 번째 서비스 지역으로 동남아 국가들을 선정한 만큼 충분히 선진출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사진=KBS]2019.11.08 jyyang@newspim.com

특히 첫 웨이브 오리지널 콘텐츠 '녹두전'을 필두로 지상파 방송 콘텐츠가 독점 공급될 경우 활약이 더 기대된다. 웨이브 측은 앞서 "웨이브고는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에 앞서 유료이용자 대상 서비스 지역 범위를 확대하는 의미가 있다"면서 "이용자 호응도에 따라 콘텐츠와 대상 국가를 점차 확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K팝을 중심으로 한 음악 프로그램, 드라마, 예능 등 한류 콘텐츠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전파할 대표 플랫폼 역할을 하리란 기대도 나온다.

확고한 문 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업계에서는 지상파와 케이블, OTT 등 플랫폼과 무관하게 한류 전파를 넘어 콘텐츠 공동 제작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미 CJ E&M에서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윤식당', 베트남의 '박씨네 미장원' 등 동남아 현지와 협력 콘텐츠를 성공적으로 제작한 바 있다.

아직은 다소 방송계 움직임이 미비한 편이지만 주요 한류 수출국인 일본과 관계가 회복되지 않은 가운데, 모든 가능성은 열려있다. 문 정부 2년, 반환점을 돌면서 방송계도 이제 콘텐츠 수출의 타깃과 시야를 넓힐 때다.

jyyang@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