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보건복지부 2019년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자살자 수는 1만2463명이다. 하루에 34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셈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리투아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자살률이다. 2013년 이후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의 수는 줄고 있지만 이를 시도한 사람은 여전히 증가 추세다. 다양한 이유로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은 그 뒤에도 같은 행위를 반복하거나 실제 자살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에 뉴스핌에서는 지속적인 전문가 기고를 통해 생명존중 문화를 확산하고, 자살 예방을 위한 사회시스템 구축에 힘쓸 예정이다.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에도 경기침체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무엇보다 정치, 경제가 불안해지면 제일 먼저 영향을 받는 분야가 예술인 듯 하다.
그래서인지 올 한해 국내 미술계는 그 어느 때보다 어려웠다고 할 수 있는데, 많은 작가들이 생활고로 어려움을 겪거나 간혹 개인적인 문제로 힘들어하다 비극적인 죽음을 선택한 소식을 접하게 되면 매우 안타깝고 허망한 마음이 든다.
팍팍한 사회에서 개인은 어떻게 삶을 위로 받고 힘을 얻을 수 있을까. 그럴 때는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자신을 돌아보고 치유하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권하고 싶다.
가령, 무수히 작은 광물 알갱이들로 이루어진 정혜련(1977~)의 작품은 작은 알갱이 하나 하나가 우리들 자신을 상징하고 있어서, 역사의 큰 흐름의 일부이자 사회 구성원인 각자의 삶과 기억을 되돌아보게 한다.
공간을 가로지르며 흐르는 조형적인 구조가 품은 에너지를 보면서 무한한 생명력을 느끼고, 삶에 대한 희망을 전해 받는다.
작품을 감상하라는 말이 마치 일상과는 동떨어진 사치스러운 일로 여겨질 지도 모른다. 그러나 미술 작품은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향유하는 것이다.
나아가 미술 작품은 어떤 언어나 상징보다도 현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거나, 잃어버린 것들의 의미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중국 현대 미술가 웨민쥔(岳敏君, 1962~)은 동서고금의 명화들을 패러디하면서 의도적으로 인물이 없이 배경만을 그렸는데 이는 격변의 시기를 거쳐온 중국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숙청되거나 처형되었으며, 심지어 존재했던 자취가 남김없이 지워져 버렸는지를 보여준다.
죽은 이들은 살아 돌아오지 않지만, 그의 작품은 수많은 이들의 존재를 기억하게 하며, 우리 남은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이처럼 미술 작품은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해 성찰하며 작가 자신의 고뇌를 오롯이 담고 있는 총체이다.
알록달록 크기도 색깔도 모양도 제각기 다른 알약을 진열장에 넣어 만든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 1965~)의 작품은 아픔도 삶의 일부라는 것을 보여준다.
문화 예술계가 여러모로 힘든 시기이지만 모쪼록 더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하면서 마음을 위로 받고, 작가들의 창작 활동도 활성화되어 문화 예술계가 진흥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표미선 서울예술재단 이사장(전 한국화랑협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