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정화 기자 = 대형저축은행의 건전성이 개선 추세다. 저축은행들이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중금리대출을 확대한 영향이다.
17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SBI저축은행의 올 3분기 기준 30일 이상 연체율은 2.8~2.9% 수준이다. SBI저축은행의 30일 이상 연체율은 지난해만 해도 3~4% 수준이었다. 전년 말 대비 1%포인트가량 떨어졌다. 올해 3분기 기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79개 저축은행의 총여신 연체율(4.2%)과 비교해도 1%포인트 이상 낮다. 전체 대출 중 상환에 문제가 생긴 대출 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올 3분기 기준 3.51%로 전년 동기(4.59%) 대비 1.08% 떨어졌다.
[서울=뉴스핌] 이정화 기자 = 대형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한층 개선되고 있다.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신용평가시스템(CSS)을 고도화하고, 중금리대출을 확대한 영향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19.12.17 clean@newspim.com |
유진저축은행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3.8%였던 가계대출 연체율이 올해 11월 말 기준 3.1%로 0.7%포인트 떨어졌다. 유진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3.6%에서 6월 말 3.4%, 9월 말 3.3%를 기록하며 지속해서 하락하는 추세다. OK저축은행 역시 올해 9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포인트 하락했다.
그동안 여력이 있는 대형저축은행들은 CSS 고도화에 집중해왔다. CSS를 통해 분석하는 금융 관련 정보의 수를 확대해 보다 다각적인 면에서 차주의 상환능력을 파악하는 것. 이를 통해 연체율은 낮추고, 대출이 가능한 잠재 고객군은 확대하는 전략이다.
SBI저축은행은 2017년부터 운영한 핀테크 TF와 CSS팀 협업을 통해 CSS에서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개수를 늘리는 데 주력해왔다. SBI저축은행 관계자 "고객이 약관을 보는 시간이 길수록 금융에 관심이 많고, 상환 능력이 뛰어나다는 결론이 나오면 이를 CSS에 반영하는 식"이라며 "그동안은 활용하지 않았던 데이터들을 모아서 실제로 그 데이터들이 유효한지 계속해서 시뮬레이션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금리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포트폴리오가 확대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0% 이상 고금리 대출 차주들은 보통 돈을 갚지 않을 위험이 높기 때문에 높은 금리로 대출이 나간다. 반면 중금리대출의 경우 고금리 대출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낮고, 그만큼 부실 위험도 크지 않아 연체율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경우 연 금리 16.5% 아래로 나간 대출만 중금리대출로 인정하고 있다. 지난 11월 말 기준 SBI저축은행의 16% 이하 대출 비중은 26.8%로 전년 11월 말(17.7%) 대비 9.1%포인트 이상 확대됐다.
유진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1536억원이었던 중금리대출 자산이 올해 3월 말 1860억원, 6월 말 2244억원, 9월 말 2734억원에서 올해 11월 말 기준 3038억원으로 늘었다. 현재 유진저축은행은 나오론M, 나오론T, 나오론V, 나오론G 등의 중금리대출상품을 운용하고 있다. OK저축은행은 올해 9월 말 기준 중금리대출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45% 이상 늘었다.
채권추심을 효율화한 것도 연체율 하락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유진저축은행은 채권 등급을 세분화해 회수가 어렵다고 판단한 등급의 대출채권에 대해서는 경험이 많고 전문적인 인력을 투입하는 등 채권추심 업무를 고도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연체 대출 채권을 총 10등급으로 분류하되 ▲정상 거래 시 ▲연체 시작 시점 ▲연체 후 열흘이 지난 시점 등 세 번에 걸쳐 다시 등급을 세분화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최근에 대출이 많이 늘었는지, 연체 후 조기상환을 했는지, 다른 금융사 대출에서 연체가 발생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등급을 나눈다"며 "40여명에 이르는 개인금융관리팀이 이들을 관리해 효과적으로 연체율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향후 저축은행업계에 적용되는 각종 규제가 강화되면서 저축은행들이 리스크 관리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내년부터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 강화, 예대율 규제 도입 등이 예정돼 있어 업계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저축은행들은 리스크 비용 등 비용 절감에 방점을 찍는 전략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le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