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대전·세종·충남

"연내 대광위 승인 신청한다더니"…대전시, 트램 기본계획도 못 세워

기사등록 : 2019-12-17 17:3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관계 부처 협의‧전문기관 의견검토 등 최소 두달…올해 승인 물 건너

[대전=뉴스핌] 라안일 기자 = 대전도시철도 2호선(트램) 기본계획(변경)에 대한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승인이 해를 넘기게 됐다. 대전시가 당초 9월 안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연내 대광위 승인을 받겠다고 예고했지만 기본계획 수립이 지연되면서 물 건너간 상황이다.

대전시는 지난 8월21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수행한 트램 사업계획 기본안(7528억원 규모)과 대안(7852억원 규모) 모두 적정성 검토를 통과하자 9월 중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연내 대광위 승인을 받겠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발표와 달리 17일 현재 대전시는 트램 기본계획을 수립조차 못하고 있다. 특히 9월부터 이어진 트램 관련 설명회 등 다수 행사에서 시 관계자들은 '다음에는', '이달안에는' 등등 연내 승인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구상을 밝혔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대전=뉴스핌] 라안일 기자 =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노선도 [사진=대전시] 2019.12.17 rai@newspim.com

기본계획 수립이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빠른 시일 안에 기본계획을 수립해도 물리적 시간상 연내 승인은 불가능해졌다.

대광위는 기본계획 승인 신청을 접수받으면 환경영향평가와 재해영향평가를 비롯해 전문기관의 의견검토 및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거친다. 관계 부처와의 협의과정에서 다소 변동이 있지만 최소 2개월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 트램의 기본계획 수립이 지연된 이유로는 차량방식 변경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시는 당초 트램 차량시스템을 무가선 배터리방식으로 계획했지만 대전도시철도 2호선 36.6㎞ 순환구간을 안정적으로 운행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차량방식 변경을 검토했다.

특히 무가선 배터리방식이 단순 평지구간이 아닌 서대전육교 지하구간과 테미고개구간 등을 오르락내리락 운행할 경우 배터리가 방전돼 중간에 멈출 수 있다는 우려가 있자 각 정거장마다 설치된 설비로 급속 충전하는 슈퍼커패시터(슈퍼캡) 방식으로 바꿨다.

실제로 시는 지난 10월30일 '대전시 최적의 트램 선정 방안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최근까지 차량선정에 난항을 겪었다.

시 관계자는 "올해 안에 트램 기본계획의 대광위 승인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트램 차량방식을 결정하는 데 시간이 걸리면서 트램 기본계획 수립이 당초 계획보다 늦어졌다. 연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최대한 빨리 대광위 승인을 받겠다"고 말했다.

ra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