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유림 기자 = 2020년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가 개막했다. 국내 유수의 제약·바이오 기업이 초청을 받았으며, 투자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다만 바이오 투자자들은 공식 초대장 수령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 발표자로 나선 회사가 향후 임상 성공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13일(현지시간)부터 16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39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가 열린다.
미국 투자은행 JP모건 체이스 앤 컴퍼니가 매년 1월 50여개 나라, 1500여개 제약·바이오기업을 초청해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여는 자리다. 연초 이곳에서 글로벌 기관투자자의 관심이 쏠리는 플랫폼기술에 따라 올 한해 한국 바이오 업계 투자 전망에 영향을 끼칠 정도로 중요한 행사다.
글로벌 금융기업 JP모건 체이스 앤 컴퍼니(J.P. Morgan Chase & Co.) 뉴욕 본사 전경. [사진=로이터뉴스핌] |
특히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가 전 세계 수많은 바이오헬스케어 행사와 차별점은 '투자'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JP모건 측은 행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참가기업 선별 작업부터 글로벌 기관투자자 미팅 주선까지 모든 과정을 컨트롤한다.
메인트랙 및 이머징(emerging)마켓 발표, 1대 1 호스팅 등 세 가지 프로그램에 참석하는 바이오 기업이 JP모건 측으로부터 공식 초청을 받은 곳이다.
발표 방식은 시가총액 및 파이프라인, 플랫폼기술 등 투자 가치 서열대로 배정된다. 메인트랙의 가장 큰 발표장인 '그랜드볼룸'은 약 800석 규모의 대형 발표회장으로 화이자(Pfizer), 로슈(Roche), 존슨앤존슨(Johnson&Johnson) 등 글로벌 빅파마에게 부여한다.
우리나라 회사 중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배정받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7년 국내 최초로 메인트랙 배정, 지난해부터는 '그랜드볼룸'을 배정받아 발표해오고 있다. 올해 김태한 사장과 존 림 부사장이 참석해 CMO사업현황, 바이오시밀러 시장 침투 본격화에 대해 소개한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처음 메인트랙을 입성했으며, 올해 메인트랙 '그랜드볼룸'으로 승격됐다. 지난해 대외활동을 거의 하지 않은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이 램시마SC'의 유럽 출시 계획과 전략에 대해 직접 발표한다.
이머징마켓 트랙은 아시아 등 신흥국의 주요 기업을 소개한다. 한미약품, 대웅제약, 휴젤, LG화학, 제넥신 등 5곳이 발표자로 초대받았다.
▲한미약품은 상용화단계 파이프라인 및 중장기 신약개발 로드맵 ▲대웅제약은 나보타 해외 시장 현황과 R&D 파이프라인 현황 ▲휴젤은 국내외 사업 현황 및 해외 시장 진출 전략 및 향후 비전 ▲LG화학은 대사질환, 항암면역질환 신약후보물질 임상 현황과 향후 계획 ▲제넥신은 GX-I7과 GX-188E의 가능성과 파이프라인 현황 등을 발표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15시), 셀트리온(16시), 제넥신(8시), 휴젤(10시30분), LG화학(11시30분), 한미약품(15시), 대웅제약(15시30분) 등 발표자로 선정된 한국 기업 7곳 모두 15일 세션에 배정받았다.
발표자 이외에 공식초청은 1대 1 호스팅 프로그램이다. 행사장 인근 호텔룸에서 바이오 기업과 기관투자자가 JP모건 측에서 안내하는 스케줄에 따라 미팅이 진행된다. ▲에이비엘바이오 ▲바이오솔루션 ▲유바이오로직스 ▲티움바이오 ▲펩트론 ▲마이크로디지탈 ▲이수앱지스 등이 정식 초대를 받았다고 밝혔다.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이 지난해 국내 기업 최초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메인트랙 그랜드볼룸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
이외에 글로벌 제약사 및 기관투자자 초청으로 참석한다고 밝힌 회사는 JP모건 측의 공식 초대장이 없는 기업이다. 행사장 밖 수천여개 작은 부스들이 모여있는 곳에 투자자들이 지나가면서 볼 수 있도록 회사 비전 및 파이프라인을 전시하거나 자체적으로 성사한 미팅으로 행사를 활용하는 것이다.
공식 컨퍼런스는 전시회가 없으며 최고경영자 발표가 중심이다. 빅파마 CEO들이 직접 참석하는 만큼 임상 결과를 토대로 한 미팅은 곧바로 투자와 직결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지난해 첫 R&D 성과인 유한양행 NASH 신약 후보물질 라이선스 아웃뿐만 아니라 지난 2015년 한미약품의 사노피 8조원 규모 기술수출, 2018년 11월 유한양행의 1조4000억원대 기술수출계약으로 이어지는 징검다리 역할을 톡톡히 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 발표장의 바깥에는 주가변동을 보여주는 모니터가 배치됐으며, 발표 내용은 회사 주가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매년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최를 전후로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 바이오 섹터도 들썩인다.
다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의 발표자 선정이 임상 성공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JP모건 측은 지난해 코오롱티슈진과 헬릭스미스(구 바이로메드)를 이머징마켓 트랙 세션에 배정했다.
코오롱티슈진은 이범섭 당시 대표가 참석했었다. 인보사(골관절염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상황 및 전반적인 기업을 소개했다. 그러나 지난해 3월 국내 최초 허가를 받은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의 2액 성분이 '연골세포'가 아니라 '태아신장유래세포주(293유래세포)'로 드러났다.
이는 전 세계에서 유례없는 사건이었다. 미국 유명 세포은행의 가이드라인에는 '293세포'는 '종양유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외부 바이러스 증식에 사용하고 사람 치료 약으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명시돼 있다.
헬릭스미스는 김선영 창업주이자 대표가 직접 VM202(엔젠시스) 당뇨병성 신경병증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상황, 내년 상업화 목표, 차세대 파이프라인에 대해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엔젠시스의 당뇨병성 신경병증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발표조차 못했다. 일부 환자에게서 위약과 약물의 혼용 가능성이 발견됐다는 이유에서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관심이 쏠리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들을 리스트업해서 초청하는 거라고 보면 된다"며 "바이오 기술과 임상을 객관적인 지표를 갖고 평가하는 행사가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투자해야 한다"고 귀띔했다.
ur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