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1-17 10:55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 지난해 공공기관의 사고사망자 수가 37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12월 서부발전에서 열악한 환경속에서 일하다 사망한 고(故) 김용균씨 사망사고 이후 정부가 공공기관 전반에 걸쳐 안전대책을 강화했지만 사각지대가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공공기관의 사고사망자는 전년대비 28.8% 줄었다. 하지만 고(故) 김용균씨 사망사건으로 '위험의 외주화' 문제가 공론화된 것을 감안하면 아직도 정신을 못차린 셈이다.
구윤철 차관은 올해 국민들이 뽑은 한국사회의 핵심가치가 '안전'이라는 점을 상기시키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경영이 실무 현장까지 구현될 수 있도록 철저한 안전관리와 투자를 당부했다.
구 차관은 "기관의 관행과 조직의 이익 때문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소홀한 부분이 없었는지 면밀히 살펴보라"면서 "금년에는 한건의 안전사고도 나지 않도록 한다는 각오로 임해야겠다"고 독려했다.
또한 "안전이 취약한 분야를 찾아 우선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안전인력을 확충해야 한다"면서 "위험작업의 2인1조 작업환경 확립 등을 위해 안전인력을 추가로 확충하고, 근로자 안전과 밀접한 보호장비와 물품 등에 대한 투자 및 R&D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더불어 "설 연휴 안전대책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전기와 가스, 난방, 철도, 공항, 항만 등 동절기 안전대책에도 철저히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dream@newspim.com